文대통령 '기업인 활동보장' 제안에 G20 주요국 '긍정'

26일 G20 특별 화상정상회의, 한국 코로나19 대응 관심 초점…文대통령 진단시약 업체 격려 방문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손선희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기업인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문재인 대통령 제안에 주요국 정상이 긍정신호를 보내고 있다.

특히 문 대통령은 26일 '주요 20개국(G20) 특별 화상정상회의'를 앞두고 의장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물론이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공감을 이끌어내는 등 제안 현실화의 8부 능선을 넘어섰다.

문 대통령은 24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모레(26일) 개최될 G20 특별 화상정상회의에서는 방역과 경제 양면에서 정상들의 단합된 메시지 발신이 중요하다"면서 "무역 활성화와 기업인 활동 보장 등 국제 협력 방안이 심도 있게 협의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코로나19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각국의 방역활동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업인들의 운신의 폭을 넓혀주자는 제안이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공감하면서 'G20 특별 화상 정상회의에서 잘 대화해 보자'고 화답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와의 통화에서도 "기업인 활동 보장 등 국제 협력 방안이 심도 있게 협의되기를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 모하메드 왕세자는 "어떠한 문제에도 한국과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세계 무역교류 활성화를 G20 화상회의 의제로 제시했다.

G20 화상회의에서는 코로나19 대응 모범국으로 떠오른 한국의 사례가 주요국 정상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G20 화상회의를 제안한 문 대통령은 최근 주요국 정상과 연이어 전화통화를 하면서 기업인 활동 보장의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주요국이 공개적으로 한국에 대한 지원 요청을 하면서 국제사회에서의 위상도 높아졌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의 긴급제안으로 한·미 정상 통화가 이뤄졌다는 점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의료장비 지원을 요청하면서 "오늘 중 승인이 될 수 있도록 즉각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에 대한 전폭 지원을 약속한 셈이다.

문 대통령은 25일 코로나19 진단시약 긴급사용 승인을 받은 기업을 방문해 연구진들의 노고를 격려했다. 진단시약 업계 대표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코로나19에 대한 신속한 대처와 정확한 검사로 한국형 방역시스템의 우수성을 인정받은 부분을 치하했다.

문 대통령은 세계 각국의 수출 요청은 한국 진단법의 정확성과 기술력이 신뢰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면서 감염병 대유행 예방을 위한 의료기기 심사절차 간소화에 의미를 부여했다.

앞서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1월27일 민간시약 개발업체에 긴급사용승인계획과 진단시약 개발을 요청한 바 있다. 설 연휴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회의실도 서울역 사내로 잡는 등 업체들을 배려했다. 한국이 코로나19 사태 초기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었던 것은 방역 당국과 업체들의 긴밀한 공조 체제가 바탕이 됐다는 얘기다.

한정우 청와대 춘추관장은 "업계는 그간 노력을 통해 코로나19 진단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있었고 질본이 자체 개발한 실험법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정치부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