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마감] 다우지수 87년 만의 폭등…금값 11년 만에 최대폭(종합)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뉴욕=백종민 특파원] 뉴욕 증시가 의회의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 경기부양 법안에 대한 합의 기대감에 힘입어 두자리수가 넘는 폭등세를 기록했다.

24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11.37%(2122.98포인트) 상승한 2만704.91로 마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날 다우지수 상승폭은 1933년 이후 최대폭이라고 전했다. 다우지수는 2만대 복귀에도 성공했다.

S&P500 지수는 9.38%(209.93포인트) 오른 2447.33에, 나스닥 지수는 8.12%(557.18포인트) 오른 7417.86에 각각 마감했다. S&P500지수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이후로 11년여만의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다우지수의 상승은 경제지원을 위한 패키지 법안 통과시 수혜를 입을 종목들이 주도했다. 항공기 제조사 보잉이 20%, 에너지 업체 쉐브론이 22%나 급등했다. 신용카드업체 아메리칸익스프레스도 21%나 올랐다. S&P500 에너지 업종도 16%나 급등했고 은행주들도 상승대열에 합류하며 12%나 올랐다.

미 공화당과 민주당은 2조 달러규모의 경기부양법안에 조만간 합의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루전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무제한 양적완화 도입에도 불구하고 이 법안이 합의에 실패하며 폭락한지 하루만에 정반대 상황이 벌어진 셈이다.

아울러 이날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가 전화회의를 통해 경제회복을 위해 필요한 모든 조처를 다 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도 투자심리를 개선하는 데 일조한 것으로 보인다.

Fed의 공격적인 조치 속에 기타 금융시장도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 이날 금값은 온스당 6.0%(93.20달러) 오른 1660.

80달러에 마감했다. 하루 상승폭으로는 11년 만에 가장 큰 폭이다. 금값은 하루전에도 5%의 급등세를 탄바 있다.

달러가치는 연이틀 하락했다. 주요국 대비 달러화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1%가량 하락했다.

국제유가도 경기부양을 통한 수요확대 기대감으로 상승했다.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2.8%(0.65달러) 상승한 24.0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뉴욕=백종민 특파원 cinq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