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한 폐렴' 무증상 입국자 또 나와…이동 동선·접촉자 파악 中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우한 폐렴' 국내 확진자 네 명 가운데 두 명이 무증상 입국자로 드러나면서 지역사회 감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들이 의료기관을 찾는 등 지역사회 활동을 한 것으로 확인돼 보건당국이 접촉자 관리와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27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국내에서 '우한 폐렴'으로 확진된 환자 네 명 가운데 두 명은 입국 당시 발열,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없었다. 앞서 발생한 첫 번째 환자와 두 번째 환자는 입국 당시 경미한 증상이 있었다. 이 대문에 공항에서 각각 '조사대상 유증상자'와 '능동감시 대상자'로 분류됐다.

그러나 세 번째 환자와 네 번째 환자는 입국 당시 별다른 증상이 없다가 지역사회로 복귀한 뒤에야 발열 등이 나타났다. 특히 네 번째 환자는 지난 20일 입국 뒤 21일 감기, 25일 고열로 두 차례 병원을 찾았는데도 불구하고 걸러지지 않았다. 이 환자가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분류돼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에 격리된 건 26일이다. 20일 입국 뒤 7일재, 21일 감기 증상이 나타난 뒤 6일째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에 따라 접촉자들에 대한 바이러스 확산이 우려된다. 보건당국은 이 기간 환자와 접촉한 사람들을 파악해 능동감시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네 번째 환자가 증상이 발현된 뒤 방문한 의료기관에서 선별진료 시스템으로 넘어가지 못한 것에 아쉬움을 밝히면서도 중국에서 '증상이 없는 잠복기 환자도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과도한 불안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마샤오웨이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주임은 2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해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달리 잠복기에도 전염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힌 바 있다.

일반적으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병은 기침 등 증상을 보이면서 전파력을 가진다. 우한 폐렴은 코로나바이러스 특성상 '비말(침방울)' 전파 방식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진다. 경증이나 무증상 상태에서는 바이러스를 보유하더라도 전파력이 매우 낮다는 의미다. 다만 가족이나 의료기관 관계자 등 밀접 접촉자는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현재 네 번째 환자의 이동 동선과 접촉자 등을 파악하기 위한 심층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상황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문화부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