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IT공룡' 손보기…'독점 폐해 vs 정치적 의도'(종합)

[아시아경제 뉴욕=김봉수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구글 등 거대 기술기업들의 반독점법 위반 혐의에 대해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

미 법무부는 23일(현지시간) 성명서를 발표해 이같이 밝히고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는 온라인 플랫폼들이 그동안 경쟁자들을 물리치기 위해 불법적인 행위를 했는지, 혁신을 저해시켰는지,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입혔는지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다"고 설명했다.

법무부는 구체적인 기업 명은 거론하지 않았지만 정보검색, 소셜미디어, 온라인 소매 판매 등에서 반독점법 위반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 언론들은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을 비롯해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등이 조사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법무부 반독점국 관계자들은 우선 이번 주 중 콜로라도, 네브래스카, 아이오와 등 주 검찰들과 회의를 하고 기술 대기업들에 대한 주 정부 차원의 소송이 가능한지를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등 전 세계에선 그동안 거대 기술기업들이 사회적 영향력이 너무 강하며 소비자 및 경쟁 기업들에 피해를 끼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었다. 미국 내에서도 초당적인 목소리로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해왔다.

이번 조사가 내년 말 재선 도전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입김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 기업이 "온라인상에서 자신을 지지하는 보수 여론을 억압하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뉴욕=김봉수 특파원 bski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뉴욕=김봉수 특파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