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이동걸 '대우조선해양, 분할매각·인위적 구조조정 없을 것'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산업은행은 31일 대우조선해양 경영권을 현대중공업에 넘기는 대우조선 민영화 방안을 발표했다. 산은은 삼성중공업에 인수 의향을 타진한 뒤 최종 인수자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 회장은 "산은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의 인수·합병(M&A)에 관한 조건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면서 "조선업종 중심의 계열인 현대중공업과 산업재편 필요성 등에 대해 공감대를 이뤄 우선적으로 M&A 절차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이동걸 회장과 기자들과의 일문일답이다.

-미국, 유럽 등 경쟁 당국의 결합심사 쉽지 않을 것이라는 말 나오는데. 독점 논란 대처는 어떻게 할 것인가?

▲기업의 결합과 관련해서는 각 해당국의 기업결합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관련 절차는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잘 협의해서 추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게 한두달 내에 해결될 게 아니라 4~5개월 내지 6~7개월 걸릴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자회사는 어떻게 되나?

▲형식적으로 대우조선해양을 따라 새 주주사로 밑에 가지만 관리 책임은 우리에게 있다.

-공적자금 투입 금액이 얼마인가? 회수 시점이나 금액을 밝혀달라.

▲공적자금 투입에 대해서는 여러 숫자가 나와 있지만 기간이나 목적에 따라 해석할 수 있다. 그 부분에 대해선 다시 계산해보지 않아서 답변을 하지 않겠다. 얼마 투입됐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대우조선 정상화를 위해 이 시점 해야 할 것이 무엇인가 하는 차원이고 회수 목적이 아니고 장기적으로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정상화를 추진해 얼마나 조선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그 결과로 중장기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목적으로 M&A를 실시했다. 차원이어서 앞으로의 성과, 경영정상화에 맞춰져 있다. 이 M&A가 성공하고 계획대로 추진되면 향후 주가 상승에 의해 업사이드 포텐셜 통해 회수자금 늘고 수조원 채권단 자금이 100% 회수 불확실한데 대우조선 정상화되면 100% 회수되면 중장기적으로 공적자금 효과 극대화하고 직간접의 투입자금 회수를 최대화 할 수 있다. 구체적 액수는 얼마인지 예단하기 어렵다. 결국 핵심은 조선산업과 대우조선 경쟁력 높일 수 있는지에 달려 있다.

-조선소 합치면 겹치는 경우 구조조정에 대한 설명도 부탁한다.

▲겹치는 업무에 대한 구조조정에 따른 인력감축 이야기하는데 그동안 현대중공업이나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해서 상당부분 인력구조조정은 마무리단계라고 판단하고 더구나 계속 인력 조정을 할 경우 조선산업 자체의 장기적 경쟁력 저해할 수 있어서 장기적으로 조선산업이 어떻게 될지는 고용을 유지하고 우수인력 유치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장기적인 판단하에 우수인력과 고용유지에 매진할 것으로 생각하고 상당한 수주 물량을 확보한 상태다. 약 2년 치의 물량을 확보해서 인위적 구조조정 가능성이 낮고 앞으로도 생산성 높이고 적정가에 수주할지 새로운 합병법인이 주안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 한가지 부연하면 양사 합병하는 게 아니라 조선지주 밑에 동등한 자회사로 편입돼서 인위적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측면은 전혀 없다.

-LNG 분야는 상당한 수준의 경쟁 제한 예상된다. 중국이나 일본 등이 합병을 불승인할 경우 복안은?

▲사실 실질적인 경쟁 회사가 없고 이 합병법인이 고객이 피해를 주지 않을까 하는 우려 같은데 현재까지도 양사의 시장점유율을 볼 때 지금 기자가 말한 우려 사항은 있지만, 현지에도 상당한 점유율에도 불구하고 고객 발주사 피해를 미치는 점은 없다. 그런 가능성 없다는 취지의 설득을 해나갈 것으로 생각한다.

-과거 플랜트 등 분할매각 거론됐는데 이번에도 추진되나?

▲분할매각 아니다. 대우조선해양 전체가 조선 지주 밑에 들어가는 병렬적인 구조다. 개별적인 지배구조와 독립성 갖는 병렬적인 구주다. 분할매각은 없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