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영동 대공분실' 인권의 요람으로 재조성…26일 이관식

이낙연 총리, 김부겸 장관, 박원순 시장 등 참석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재탄생…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운영

경찰청 남영동 인권센터(옛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의 외관 . 고문과 취조가 이뤄지던 청사 5층의 좁은 창문이 눈에 띈다.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민주열사인 고(故) 박종철씨와 고 김근태 민주당 전 상임고문이 고문당했던 ‘남영동 대공분실’이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재탄생한다. 이곳은 군부독재 시절 시민에 대한 폭행과 고문으로 악명을 떨쳤던 인권 탄압의 상징물이다. 행정안전부는 26일 옛 남영동 대공분실 건물의 관리 운영권을 경찰청으로부터 넘겨받는 이관식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과거 인권 침해와 고문 치사로 얼룩진 남영동 분실을 인권의 요람으로 다시 조성하는데 방점을 찍었다. 행사는 '민주인권기념관으로 다시 태어납니다'라는 주제로 열린다. 행사에는 이낙연 국무총리와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 박원순 서울시장, 민갑룡 경찰청장 등이 참석한다. 지선 스님과 고 박종철씨의 가족 등 피해자 유가족 150여명도 참석할 예정이다.행안부는 이곳 테니스장 부지에 2022년까지 민주인권기념관을 지을 예정이다. 폭행과 고문이 자행됐던 본관건물은 전시·교육의 장소로 활용된다. 기념관 관리와 운영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맡을 예정이다. 7층짜리 대공분실 건물은 5층의 취조실 창문이 아주 작고 좁은 직사각형으로 설계돼 있다. 과거 민주화 인사들은 건물 뒷문으로 들어와 나선형 계단을 걸어 취조실로 올라갔다. 공포심을 극대화시키는 구조다. 이곳은 1987년 1월 당시 서울대생이던 박종철씨가 고문으로 사망하면서 외부에 널리 알려졌다. 6월 민주화 운동의 도화선이 된 사건이다. 이후 2005년 10월 경찰청 인권센터로 탈바꿈했다. 2008년 6월에는 박종철 기념전시실 개관으로 일반인에게 개방됐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