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노사, 2년치 임단협 타결…찬성 56.4%(종합)

현대일렉트릭과 현대건설기계, 현대로보틱스도 임단협 마무리 될 듯

현대중공업 도크 전경.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현대중공업 노사의 2016, 2017년 임금과 단체협약이 2차 잠정합의안까지 마련한 끝에 가결됐다. 일감 부족 심화 등 올해 큰 폭의 실적악화가 예상되면서 가까스로 합의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현대중공업은 9일 노사가 2016년과 2017년 2년 치 임단협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조합원 9826명 중 88.8%인 8724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56.4%(4917명), 반대 43.3%(3774명), 무효 0.3%(27명), 기권 0.1%(6명)로 잠정합의안이 통과됐다.합의안은 기본급 동결, 자기계발비 월 20시간 제공, 임단협 타결 격려금 연 100%와 추가 150만원 지급, 사업분할 조기 정착 격려금 150만원 등이 골자다. 성과급은 산출기준에 따라 지급하고, 상여금 지급 기준 변경에도 합의했다.또 1차 잠정합의안 부결 후 재교섭에서 유상증자에 따른 직원 우리사주 청약 대출금에 대한 1년치 이자비용 지원과 생활안정지원금 20만원 지급에도 추가 합의했다. 다만 단체협약 중 신규 채용시 종업원 자녀 우대와 정년퇴직자 자녀 우선채용 조항은 삭제됐다.현대중공업 노사는 2016년 5월부터 2016년 임단협 교섭을 시작했지만 그해 마무리 짓지 못하고 2017년 6월부터 2016년 임단협과 2017년 임금 협상을 묶어 2년 치 교섭을 진행해 왔다. 지난해 연말 마련한 첫 번째 잠정합의안이 조합원 총회에서 부결된 이후, 노사는 설 전 타결을 위해 머리를 맞댄 끝에 지난 7일 두 번째 잠정합의안을 이끌어냈다.노조 관계자는 "낮은 기본급 등 임금체계 개선 없는 상여금 월 분할 지급과 성과금 부족, 유연근무제 등 합의안 내용에 여전히 불만이 많지만 조합원들이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지난 2년간 장기투쟁 과정에서 나타난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고용안전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전개할 것"이라고 말했다.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임단협 마무리로 노사가 다시 위기 극복에 대한 의지를 모아 재도약에 나설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며 "하루빨리 회사 경쟁력을 회복하여 세계 조선업체 1위 위상을 더욱 굳건히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한편 현대일렉트릭과 현대건설기계, 현대로보틱스 역시 이번 현대중공업 합의안 가결로 임단협을 마무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지난 1월 이미 조합원 총회에서 잠정합의안을 가결하고도 노조의 '4사 1노조' 규정에 따라 임단협을 마무리하지 못했다.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