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CBSI 3개월만에 하락 전환…'부동산 규제·금리인상 여파'

건설경기 BSI 추이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11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금리인상의 여파로 3개월 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4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1월 CBSI는 78.2로 전월 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CBSI는 지난 8월 8·2 부동산 대책과 내년도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안 감축 발표의 영향으로 지수가 80선 중반에서 70선 중반(74.2)으로 급격히 하락했다. 이후 9~10월 70선 후반선으로 소폭 회복됐지만 11월 들어 다시 하락했다. CBSI가 4개월 연속 70선에 머무른 것이다. 지난 2014년 4~7월 이후 3년4개월 만에 처음으로, 그만큼 건설경기가 점차 둔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산연은 그동안 CBSI 상승세가 큰 영향을 미쳤던 주택경기가 정부 대책과 규제의 영향으로 위축된 가운데 금리인상으로 상업용 시설, 오피스텔 등 비주택 건축물도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박철한 부연구위원은 "지난 8월 급락했던 CBSI가 9월과 10월 2개월 연속 통계적 반등을 보였으나 11월 금리인상까지 겹치면서 다시 하락세로 반전됐다"며 "특히 11월 비주택 신규 공사수주 지수가 8.2포인트 하락하는 등 상업용 시설과 오피스텔 같은 비주택 건축물까지 위축될 가능성이 확대된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CBSI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현재의 건설 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을 넘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형기업 지수는 85.7로 6.6포인트, 중소기업 지수는 65.3으로 3.5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중견기업 지수는 5.9포인트 상승한 81.8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기업 지수(84.3)와 지방기업 지수(69.9)가 각각 0.9포인트, 1.4포인트 내려갔다.12월 CBSI는 11월 실적치 대비 2.1포인트 하락한 76.1로 전망됐다. 통상 12월에는 공공공사 발주 증가로 지수가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올해는 이례적으로 지수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향후 건설경기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 부연구위원은 "실적치 대비 익월 전망치가 낮다는 것은 건설기업들이 12월 건설경기 침체 정도가 11월보다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본다는 의미"라고 말했다.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