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공동구매' 원가 1% 절감시 1만6000명 고용창출 효과'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중소기업이 협동조합 공동구매를 통해 원부자재 조달원가를 1% 절감할 경우 영업이익은 7% 향상되고 1만6000여명의 고용 창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중소기업중앙회가 한국은행의 '2015년 기업경영분석'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전 산업 중소기업의 원부자재 조달규모는 374조원이며 영업이익은 53조4627억원이다. 공동구매를 통해 조달원가 1%(3조7400억원)를 절감한다고 가정하면 이는 영업이익의 7%에 해당된다. 이 경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3.55%에서 3.80%로 0.25%포인트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매출액(1506조8786억원) 또한 영업이익 증가폭인 0.25%포인트 증가한다고 가정하면 총 3조7672억원 매출이 증가하고 매출 증가에 따라 총 1만6576명 신규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한다는 계산이다.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6월 704개 중소기업협동조합과 1002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동구매 전용보증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공동구매를 통한 원가할인율에 대해 5% 이상 할인될 것으로 예상한 곳은 협동조합(45.6%)과 중소기업(67.1%)이 가장 많았다. 원부자재 공동구매를 통한 영업이익 향상효과와 고용창출 효과는 더 클 것이라는 예상이다.또한 이 조사에서 '원부자재 공동구매 전용보증'이 도입될 경우 협동조합은 공동구매 규모를 5784억원 이상 확대 및 신규 추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협동조합의 지난해 공동구매 실적 1조1685억원의 49.5%에 해당하는 규모다. 172개 조합이 3402억원을 추가 확대하고 339개 조합이 2382억원을 신규 추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이에 따라 중앙회는 신용보증기금이 대기업 등의 출연을 통해 운영 중인 '협약에 의한 특별보증' 형태의 전용보증 신설을 위해 정부에 보증재원 출연을 요청했다.보증재원 출연을 통해 공동구매가 가능하고 보증대상 확대, 보증한도 우대, 보증료 인하 등 기존 보증상품과 차별화되고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승수효과를 통해 한정된 재원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원부자재 공동구매 전용보증' 신설이 필요한 상황이다.중소기업은 다품종 소량구매, 구매력 부족(자금, 신용, 담보) 등으로 원부자재 구매단가가 높은 동시에 납품단가 후려치기, 원자재 가격상승 미반영, 과다 출혈경쟁 등 이중 애로에 직면해 대기업과의 불균형 구조가 심화되고 있다. 전용보증을 통한 안정적인 원부자재 수급체계 구축이 절실하다.보증재원 1000억원이 출연되면 보증 승수효과 및 연간 4회전 결제 등으로 총 6조원의 공동구매가 가능하다. 원가할인율 5%를 가정하면 공동구매를 통해 영업이익이 3158억원, 1.3%포인트 향상하는 효과뿐만 아니라 1383명의 신규고용 창출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