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예술로 태어난 세종대왕의 꿈 '용비어천가'

국립국악원 '세종의 신악-뿌리 깊은 나무, 샘이 깊은 물'… 25~27일 예악당

'세종의 신악-뿌리 깊은 나무, 샘이 깊은 물' 공연 모습. 사진제공=국립국악원

[아시아경제 장인서 기자] 국립국악원은 조선시대 정악 중 최초 한글 노래인 '용비어천가'를 무대예술로 선보인다.국립국악원(원장 김해숙)은 오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예악당에서 2017년도 국립국악원 대표공연 '세종의 신악-뿌리 깊은 나무, 샘이 깊은 물'을 무대에 올린다. 궁중음악과 궁중무용을 선보이는 국립국악원 정악단과 무용단이 출연한다. 연출에는 신선희 서울예술대학교 교수가, 작곡에는 계성원 작곡가가 참여한다.'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穆祖)에서 태종(太宗)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다. 한글 창제 이후 최초의 국문시가로서 전 10권으로 구성됐다.이번 공연에서는 용비어천가의 원문에 정악 선율을 창작해 합창으로 들려준다. 국립국악원에서 작곡을 통해 용비어천가를 합창으로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노래는 27명의 정가 가객들이 함께 정가 창법으로 무대에 올라 합창으로 선보인다.음악 구성은 수제천, 여민락, 정대업, 보태평, 수룡음 등 대표적인 정악곡을 기본으로 하되 행사에 쓰이던 반주음악 차원을 넘어 연주 음악으로써의 품격을 높였다. 악기편성 또한 노래가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재구성했다.이해하기 어려운 용비어천가의 원문도 쉬운 우리말로 바꾸고 운율 또한 살렸다. 작품 전개를 위해 원문의 순서도 재구성했다. 공연의 구성은 용비어천가가 편찬된 세종 시대를 중심으로 조선건국의 탄생 배경과 천명으로 부여받은 왕실의 정통성, 그리고 군주로서 지녀야 하는 애민정신과 예악사상을 전한다.아울러 각 장의 주제에 따라 극적 상황을 상징화 시킨 창작 무용은 용비어천가의 노랫말에 담겨진 핵심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무대 구성에는 별도의 장치 없이 순수한 공간으로 설정하고 조명과 영상을 활용해 색채를 덧입혔다. 장인서 기자 en1302@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문화레저팀 장인서 기자 en130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