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부터 중국인 관광객으로 붐비던 명동 거리가 텅 빈 모습이다.
배치 결정 이후 시중銀 일평균 현금입금액 30% 급감주요상권 중소상인 대출제한 우려도[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사드(THAADㆍ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이 지속되면서 그 여파가 시중은행권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상황이 악화될 경우 명동 등 주요 상권에서 영업중인 중소상인들의 대출 제한 등의 조치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 국민, KEB하나, 우리 등 시중은행 명동지점의 일평균 현금 입금액이 사드 배치 이후 약 30% 가량 급감했다.중국 관광객 감소, 명동 등 서울 주요 상권 침체, 상인 하루 평균 은행 입금액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통상 명동 상인들은 하루 장사로 번 돈(현금)을 당일 은행에 입금한다. 상인들은 장사로 번 돈이 대부분 현금이라는 점에서 은행이 문을 닫기 전 현금입금이 습관화돼 있다. 명동에 지점 또는 본점을 두고 있는 은행들은 중국의 보복조치가 시작되면서 하루 평균 입금되는 현금량이 30% 가량 감소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상인의 수입이 그만큼 감소했다는 의미다. 개인 사업자 또는 브랜드 매장별로 최대 50%까지 감소한 곳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실제 A은행 명동지점의 경우 중국의 보복조치 전 일평균 현금 입금액이 2억원 정도였으나 보복조치후 6000만원 정도 감소한 1억4000만원에 그치고 있다. 연간으로 따지면 이 지점에서 216억원이 증발하는 셈이다.B은행 관계자는 "중국인들에게 인기가 많은 화장품 브랜드 점포의 경우에는 입금액이 50%나 감소했다"고 전했다.음식점(식당) 역시 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조치의 피해를 고스란히 받고 있다.C은행 관계자는 "매일 400만원씩 꼬박꼬박 입금을 하던 명동 토박이 음식점 주인의 입금액이 사드 배치 이후 300만원으로 줄었다"며 "업종 구분없이 명동 상권의 매출이 30% 이상 감소했다고 보면 틀리지 않는다"고 설명했다.현재 명동 인근에는 4대 시중은행 9개 지점이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간 1900억원 가량의 현금입금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명동 등 주요 상권의 매출이 감소하면서 은행권의 업종별 익스포저(상호 연관된 금액)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호텔ㆍ숙박업, 관광업, 음식업 등 사드 여파를 직접적으로 받는 업종에 대한 여신 등 금융지원 방향이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는 게 은행권의 공통된 시각이다.D은행 관계자는 "중국인 의존도가 높은 관광, 문화, 화장품 등 관련 업종에 대한 리스크 관리에 들어갈 수 있다"며 "대출제한 등 상황에 따라 상인들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