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파면]1600만 촛불, 133일간 승리의 기록

세계 찬사 쏟아진 '1587만 평화시위'6차 집회서 232만 최대인원 참가작년 12월31일 누적 1000만 넘어내일 자축집회까지 1600만 웃돌듯

박근혜 대통령 취임 4주년인 2월25일 저녁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민중총궐기 17차 범국민행동의 날 집회 참가자들이 촛불을 들고 박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사진= 공동취재단)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금보령 기자] 2016년 12월9일, 비선실세 최순실에게 무소불위의 권력을 내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국회가 가결했다. 광장으로 쏟아져 나오는 촛불 민심을 더 이상 거스를 수 없었던 정치권의 결정이었다. 그리고 그로부터 꼬박 석달이 지난 2017년 3월10일 헌법재판소는 마침내 박 대통령에게 탄핵 선고를 내렸다.스스로 내려놓을 수 있었던 기회를 저버린 박 대통령은 이제 국민에 의해 청와대에서 쫓겨나는 신세가 됐다. 탄핵이 결정되는 마지막까지 간절한 염원을 놓지 않은 촛불 민심이 일궈낸 온전한 승리다. 평범한 시민들이 저마다 두 손에 촛불을 들고 민주주의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다.촛불 민심은 숫자로도 확인된다. 지난해 10월29일 1차 촛불집회 당시 광화문광장에 3만개의 촛불이 켜졌고, 11월12일 3차 집회에는 서울에서만 100만명, 전국에서 110만명의 시민들이 운집했다. 232만명이 모인 6차 촛불집회는 헌정 사상 최대 규모의 집회이자 불과 엿새 뒤 국회에서 박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가결하게 한 결정적인 계기가 됐다.2016년의 마지막 날이었던 12월31일 집회까지 전국에서 촛불집회 누적 참가자 수는 1000만명을 넘어섰고, 이달 4일에 열린 19차 집회까지 총 1587만3000명을 기록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선고일이 임박한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19차 촛불집회에서 참가자들이 촛불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사진: 문호남 수습기자)

촛불집회를 이끈 '박근혜정권퇴진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 측은 평일 촛불집회와 국회ㆍ새누리당 당사ㆍ법원ㆍ삼성 본관ㆍ특별검사 사무실ㆍ헌재 앞 집회, 그리고 일부 지역 집회는 집계를 하지 않았던 만큼 실제 참가 인원은 이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탄핵 인용을 자축하는 11일 '20차 범국민행동'까지 촛불집회 참가자 수는 무난히 1600만명을 돌파하리라는 게 이들의 예상이다.지난 1987년 6월 항쟁 당시 모인 시민들이 총 300만~500만명으로 추산되는 사실과 견주어도 2016~2017년 촛불집회는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전례를 찾기 어려운 진기록이다.이렇게 모인 남녀노소, 각계각층의 촛불은 바람 불어도 꺼지지 않는 횃불이 됐다. 한겨울 혹한기를 지나면서 촛불은 사그라들기는 커녕 더욱 크게 번졌고, 광장의 구호와 외침이 높아지는 가운데서도 물리적 충돌이나 사고가 없었던 거대한 시민들의 항거는 세계의 찬사와 지지를 받았다.장장 133일간 꺼지지 않고 이어온 촛불은 오늘도, 내일도 계속 타오른다. 대통령과 측근들의 국정 농단으로 파괴된 헌정 질서를 대체할 새로운 질서를 세우기 위해 촛불을 든 시민들은 오늘도 광장으로 모이고 있다. 퇴진행동은 10일 저녁 서울 종로에서 '촛불 승리 축하 퍼레이드'를 진행한다.안진걸 퇴진행동 공동대변인(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이번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는 촛불집회는 국민에 의한, 국민의, 국민을 위한 촛불이었기에 이것이 주권자 혁명으로 승화될 수 있었다"며 "어떠한 권력도 국민 아래, 주권자의 의지 아래 있어야 한다는 중요한 깨우침과 부패하고 부당한 권력이라면 언제라도 우리 주권자들이 끌어내릴 수 있다는 중대한 경종을 울렸다"고 평가했다.활활 타오른 이 촛불은 이제 정국 혼란을 수습하고 나아가 한국 정치와 민주주의의 쇄신을 이끌어 가게 된다. '나라의 진짜 주인은 국민'이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명제는 이렇게 증명되는 중이다.

1월21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3차 촛불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즉각퇴진과 재벌총수 구속수사 등을 외치고 있다. (사진=문호남 수습기자)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사회부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