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부터 열강들의 이해 교차했던 땅
역사 속에 현대의 위기 해법 있어
서희의 외교 담판과 광해군의 중립외교 모범답안
[아시아경제 김세영 기자] 한반도 주변정세가 악화되고 있다. 한국의 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도입을 둘러싸고 미국과 중국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미국의 태도는 강경하다. "중국의 우려를 이해한다"지만 외교적 수사일 뿐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은 물론 중국의 사드 배치에 대한 반발에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못을 박았다. 미국은 사드배치가 중국에 대한 위협이 아니며 북한의 공격으로부터 우방국인 한국과 일본을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주장한다.중국의 입장은 다르다. 사드 배치는 중국의 이익을 훼손하며 미국과 심각한 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중국내에서는 한국에 배치된 사드 기지를 폭격해야 한다거나 핵무기를 포함한 군사력을 증강해 미국에 맞서야 한다는 강경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미국이 중국의 핵무기 역량을 키울 명분을 주고 있으므로 이를 발판 삼아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중국은 한국에 대해 전방위적 압박을 가해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한국은 중국 정부와의 고위급 교류가 중단위기를 맞았을뿐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불이익을 당하고 있다. 사드 기지를 제공하기로 한 롯데그룹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제재를 가하고 중국 의존도가 높은 관광 업종을 규제해 한국 시장을 밑바닥부터 흔들었다. 교류 중단과 제재는 경제뿐 아니라 문화·스포츠 부문으로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전망이다.북한도 가만히 있을리 없다. 한·미 합동훈련을 선제 핵공격 시도로 규정하며 한반도 전쟁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북한은 국제사회가 미사일 발사 등을 비판하자 오히려 미국이 평양을 노려 선제 핵공격을 하려 한다고 비난했다. 도널트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이 된 뒤 한반도는 심각한 외교적 갈등의 중심지가 됐다. 이데올로기, 역사의식, 경제적 이해관계가 혼재한 한반도는 일촉즉발의 상황이다. 이러한 정세에 한국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사진=아시아경제DB)
전쟁과 외교의 역사에서 길을 찾아볼 수도 있다. 한반도는 예부터 열강들의 이해가 교차하는 지점이었다. 서희의 담판, 광해군의 중립외교는 모범답안에 가깝다. 고려의 서희는 993년 거란이 침입하자 거란 장수 소손녕과 담판해 대규모 전쟁을 피했다. 피한방울 흘리지 않고 강동 6주를 얻는 외교적 성과를 얻었다. 그의 담판은 송과의 친선관계를 유지하면서 경제적 이득을 보장받고 거란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등 최선의 결과로 이어졌다.조선 15대 왕인 광해군은 명나라가 쇠퇴하고 후금이 일어서는 국제 정세를 정확히 파악하고, 두 세력 사이에서 균형을 잘 잡았다. 명나라가 후금과 전쟁하면서 지원병을 요구하자 군사는 파견하되 강홍립을 시켜 후금과 휴전하고 돌아오도록 했다. 당시에는 사대세력의 비난을 받았지만 훗날 실리와 명분을 모두 취한 중립외교로 평가를 받는다.국가와 국가 사이의 이해관계가 충돌해 갈등을 관리하기 어려운 수준에 도달하면 무력에 호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쟁은 국가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는 가장 최후의 수단이다. 인간의 갈등은 정치가 해결하지만, 정치의 갈등은 전쟁이 해결한다. 그래서 인류의 역사는 곧 전쟁의 역사로 귀결된다.전쟁은 인간을 바꾸고 세상을 바꾸고 역사를 바꾼다. 하지만 그만큼 막대한 피해를 감당해야 한다. 불행한 전쟁의 역사를 피하고자 한다면 그 역사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신간 '한눈에 꿰뚫는 전쟁사도감'은 인류 역사를 뒤바꾼 전쟁 스물여덟 개를 골라 다섯 가지 유형(가치관·종교·경제·이데올로기·민족 대립)으로 나눠 살핀다.입체 그래픽지도와 풍부한 컬러도판을 활용해 전쟁이 발발한 시대적 배경, 역사적 인물, 전쟁의 전술과 전략, 당시 전투 상황을 생생히 재현한다. 전쟁사는 물론 당대의 세계사가 한눈에 들어온다. 개별 전투를 살피면 시대나 지역이 전혀 달라도 원인과 과정, 결과에서 공통점이나 역사적 진실을 발견할 수 있다. 과거의 전쟁은 살핌으로써 현재의 국제정세와 세계의 미래에 대한 통찰을 기대할 수 있다.<조지 무쇼 지음/ 안정미 옮김/ 이다미디어/ 1만3500원>
056-057P 몽골 제국의 영토07[사진=이다미디어 제공]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문화스포츠레저부 김세영 기자 ksy123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