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에 국한됐던 중국 보복…정부까지 나섰다
<b/>산소발생기 생산업체 600억원 계약 사드 이유로 일방적 취소 통보통관기간 3배 늘리고 화장품 위생허가 번번이 퇴짜…기업피해 눈덩이[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조호윤 기자, 정동훈 기자] 민간부문에 국한됐던 중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 추진에 따른 보복 조치가 정부 차원의 계약에서도 확인됐다. 중국 군 당국에 제품을 납품하려던 한 중소기업이 최근 사드 문제 때문에 한국 제품을 못 쓰겠다는 일방적 주장으로 인해 계약 파기 사태를 맞은 것이다. 중국 당국의 보복이 전방위적으로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동시에 우리 정부는 사드 보복을 제대로 예견하지 못한 데다 현지 기업들의 유통망 폐쇄나 단체관광객 통제는 물론 수출계약 파기에 이르기까지 속속 무기력한 대응을 보인다는 지적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됐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 A사는 최근 중국 군 당국에 납품하려던 총판을 통해 계약 파기 소식을 접했다. 지난해 9월 수주 소식을 접한지 6개월 만이다. 이 회사는 티베트 라싸 국경지대의 군부대가 실시한 산소발생기 구매입찰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1등을 차지한 바 있다. 중국 군 당국은 산소가 희박한 고산 지대에 근무하는 군인들이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막사에 산소발생기 제품을 들여놓을 계획이었다. 총판에서 요구한 1차 물량은 대당 1000만원인 산소발생기 6000대. 금액으로는 600억원의 수출 규모다. 2012년 중국 시장에 진출한 이후 가장 큰 수출 쾌거였다. 하지만 계약금 송금이 차일피일 미뤄지더니 총판에서 계약 전면 백지화 통보를 해왔다는 것이다. 그 사유는 제품의 문제가 아니었다. 사드 문제 때문에 군 부대측에서 한국 제품을 안쓰겠다고 해서 계약을 취소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중국 국경지대의 또 다른 수많은 군부대까지 대규모 비즈니스로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한순간에 물거품이 됐다.이 회사 대표는 어이없는 사태를 보며 중국 수출사업을 완전히 포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설령 다시 계약이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제2의 사드 사태가 언제든 다시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동남아 등 다른 국가로 수출지역을 개척해 나갈 계획이다.이 사례는 중국의 보복이 보다 광범위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은 관영 언론을 통해 반한 감정을 부추기고 보복을 노골화하는 가운데 한국관광 전면금지나 한국제품 불매운동, 중국 현지 판매점 영업정지 등을 잇따라 쏟아내고 있다.이로인해 각 기업들의 피해사례는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가죽피혁을 제조하는 B사는 원단 수출 지연으로 애를 먹고 있다. 그동안 중국 수출을 위한 통관기간이 보통 7일 정도였는데 최근에는 20일 가량으로 약 3배 늘었다고 한다. 유행 등이 급변하는 패션시장에서 원단 공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생산은 물론 영업과 판매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화장품 제조기업인 C사는 중국 당국의 위생허가를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통상 위생허가를 위한 서류를 접수하면 90~120일 이내 검토가 끝나고 특별한 이상이 없을 경우 2~3주 내에 허가를 내줬는데 지금은 6개월 이상 걸리거나 서류 미비 등으로 번번이 퇴짜를 맞고 있다는 것. 예전 같으면 서류상 조금 부족한 면이 있어도 큰 이상이 아니면 넘어가줬는데 사드 문제 이후에는 트집을 잡아서라도 지연시키거나 안해주고 있다는 게 회사측 추정이다. 국내 1위 뷰티업체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현지에서 판매를 반대하는 시위에 휩싸이기도 했다. 5일 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게시된 동영상에는 중국 시닝 지역에 위치한 한 백화점내 아모레퍼시픽 라네즈 메이크업 시연행사장에서 "한국기업 꺼리자"는 중국인들의 항의방문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이들은 라네즈 매장에서 근무 중인 중국인 직원들에게도 "너희가 중국인이냐", "중국인인데 왜 한국회사에서 일하냐"며 수분간 목소리를 높였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중국이 보복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하던 국무총리나 외교부장관 등의 말에 크게 기대를 한 것은 아니었지만 이렇게 일방적으로 당하게 돼 속은 기분이 든다"며 "이미 피해가 현실화한 상황에서도 정부 관료들이 정치권만 기웃거리는 것 같아 분통이 터진다"고 말했다.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조호윤 기자 hodoo@asiae.co.kr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유통부 조호윤 기자 hodoo@asiae.co.kr산업2부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