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절로 '해킹됐다' 메시지 출력…프린터 사이버 공격 확산

2일부터 국내외에서 프린터로 영문 메시지 출력되는 피해 사례 발생무선으로 인쇄 명령 내리거나 특정 이메일 주소로 인쇄정보 전송"프린터의 인터넷 연결을 해제, IP 주소를 내부 네트워크로 변경해야"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국내외에서 프린터로 해킹됐다는 영문 메시지가 출력되는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6일 이스트시큐리티는 지난 2일부터 인쇄 명령을 하지 않았는데도 해킹됐다는 영문 메시지가 출력되는 사례들이 생겨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공격자는 프린터 기기의 다양한 온라인 기능 중 무선으로 인쇄 명령을 내리거나 특정 이메일 주소로 인쇄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활용했다.각 프린터 제조사는 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에서 프린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PCL(Printer Command Language), PJL(Printer Job Language) 등의 통신 언어를 사용한다. 이번 공격은 이 통신 언어를 악용해 인터넷에 연결된 특정 프린터로 인쇄 명령을 전송하고 원격지에 존재하는 프린터에서 실제 출력물을 인쇄하는 것으로 분석된다.이번 공격을 진행한 집단은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는 '쇼단(Shodan)'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 세계 인터넷에 연결된 온라인 프린터와 포스(POS, Point of Sales) 기기에 악의적인 출력 명령을 내리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김준섭 이스트시큐리 부사장은 "프린터 인쇄 공격에 노출될 경우, 인쇄용 잉크나 출력 용지 등의 용품이 무분별하게 소비되거나 프린터를 사용하는 업무가 방해받는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이와 유사한 공격 피해를 받게 될 경우 프린터의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고, 외부 인터넷으로 연결된 IP 주소를 내부 네트워크로 변경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현재까지는 인터넷에 연결된 프린터에서 자동으로 인쇄물이 출력되는 피해만 보고되고 있지만, 이 같은 원리를 악용한 또 다른 형태의 피해가 나타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협력을 통해, 이번 공격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되는 국내 프린터 기기들에 대한 조치를 진행할 예정이다.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