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 혹은 저소득 취약계층의 가계부채가 올 3분기말 기준 78조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제2금융기관인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중 32.2%가 취약계층 대출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27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금리에 민감한 변동금리 가계대출 및 취약차주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3분기말 현재 가계대출 중 고신용(신용등급 1~3등급) 대출이 전체의 64.9%를 차지했고 중신용(신용등급 4~6등급)과 저신용(신용등급 7~10등급) 대출은 각각 27.7%, 7.4%로 조사됐다. 소득수준별로는 소득상위 30% 이내인 고소득층이 64.3%였다. 소득 30~70%이내인 중소득층은 24.6%였고 소득 하위 30%이하인 저소득층은 11.1%로 각각 나타났다. 또 3개 이상 금융기관으로 부터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의 대출비중은 30.7%에 달했다.
.
특히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 또는 저소득 차주로 분류되는 취약계층의 대출비중은 올 3분기말 현재 전체 가계대출금액의 6.4% 수준인 78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자를 기준으로 하면 전체 대출자중 8%가 취약계층이었다. 취약계층은 특히 비은행권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업권별 취약계층의 대출비중을 금액기준으로 보면 은행은 3.7%였지만 비은행은 10.0%에 달했다. 비은행중에서도 저축은행 가계대출 중 32.4%가 취약계층 대출로 분석됐다. 저축은행 가계 대출자 10명 중 3명 이상이 취약계층인 셈이다.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가계대출 중 취약계층도 15.8%정도 됐다. 한은은 "대출금리 상승은 상환능력이 부족하고 변동금리 대출을 상대적으로 많이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저신용, 저소득,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이자상환 부담을 증대시키고 관련 대출의 건전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단 한은은 "전체 가계부채 중 취약차주 비중이 크지 않고, 그간 정부·감독당국이 가계부채 관리 노력을 강화해온 점 등에 비춰 현 시점에서 대출금리 상승이 전체 가계부채 및 금융기관 전반의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