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신흥국 수출 부정적…대미수출엔 오히려 긍정적-이전에도 금융불안·유가하락·신흥국 침체…韓수출에 악영향-대기업이 더 부정적…中企 ICT vs 대기업 선박·플라스틱 '부정적'[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15일(한국시간) 미국의 금리인상 결정으로 우리나라 수출기업들은 신흥국으로의 수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대(對)미국 수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별로는 선박과 전기전자, 기계류 수출이 흐린 반면에 의료기기와 섬유는 맑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의 예를 보면 미국 금리인상은 국제 금융시장 불안, 유가 하락, 신흥국 경기침체를 불러와 우리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무역협회가 회원사 587개사를 대상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우리 수출기업의 전망을 설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이에 따르면 우리 수출기업들은 대체로 미국의 금리인상이 향후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보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응답기업 중 미국 금리인상의 영향에 대해 부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은 34.2%인 반면 긍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은 24.9%였다.
지역별로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업체의 경우 긍정적인 응답의 비율이 더 높은 반면, 여타 지역의 경우 부정적인 응답의 비율이 더 높았다. 수출지역별 부정적 응답 비율은 중남미 60.0%, 중동 44.7%, 동남아 40.2%, 미국 28.2% 순이었다. 유럽연합(EU), 일본 등 여타 선진국의 경우 긍정적 응답과 부정적 응답 비율의 차이가 신흥국에 비해 크지 않았다. 긍정과 부정 응답비율을 보면 미국(31.7% 대 28.3%), EU (29.4% 대 32.4%),일본(21.9% 대 28.8%)이었다특히 중남미, 중동, 동남아 등 신흥국 시장으로 수출하는 업체들의 부정적 전망 비율이 높아,미국 금리인상이 신흥국 수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모습이었다. 부정적 응답 비율은 중남미 60.0%, 중동 44.7%, 동남아 40.2% 순이었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이 미국 금리인상에 대해 부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더 높았다. 기업규모별 부정적 응답 비율은 중소기업 32.3%, 대기업 45.8%, 긍정적 응답 비율은 중소기업 25.0%, 대기업 18.1%로 대기업의 전망이 보다 부정적이었다. 중소기업의 경우 중남미(55.6%), 중동(41.0%) 등 신흥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부정적 응답 비율이 높았으며, 품목별로는 전기전자(39.6%), 무선통신(36.4%)의 부정적 응답비율이 높았다. 대기업 역시 중남미(100%), 중동(62.5%), 동남아(57.9%)로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으며, 품목별로는 선박(100%), 플라스틱 · 고무(66.7%), 농수산물(66.7%)의 부정적 응답 비율이 높았다.
품목별로는 대다수의 품목에서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을 상회했으며 특히 선박(50.0%),전기전자(40.7%) 등에서 부정적 응답의 비율이 높았다. 다만 선진국으로의 수출비중이 높은 의료정밀(34.5%대 17.2%)과 섬유(27.0%대 25.7%)의 경우 긍정적인 응답비율이 부정적 응답 비율을 상회했다. 미국 금리인상 이외에 비관세장벽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우리 수출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 설문한 결과 응답 기업의 34.2%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지역별로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부정적 응답 비율이 40.8%로 높아 내달 출범하는 트럼프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에 우려를 표시했다. 품목별로는 기계류(14.9%), 섬유(12.9%), 철강(12.4%)에서 비관세장벽에 대한 부정적 응답비율이 높았다. 무역협회는 "국제유가 상승 및 신흥국 경제 회복 기대로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유가 하락, 신흥국 금융불안 등은 우리 수출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미국 트럼프 신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더해져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을 가중시킬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세계경제 불확실성 증대, 국내외 금융ㆍ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 선제 대응해야 한다고 무역협회는 조언했다.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환리스크에 취약한 중소기업은 환변동 보험 활용도를 제고하고, 장기적으로는 지속적인 투자를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이 중요해졌다. 주력 수출산업 부진, 구조조정 지연, 가계부채 급등 등 금리 상승시 국내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증폭시킬 수 있는 취약 요인들에 대한 정부의 대책 수립도 시급하다. 김경훈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장기적으로는 지속적인 투자를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과 함께 구조개혁, 규제완화 등의 노력을 병행해 대외 충격에 강한 경제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