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녹화조사실 서너곳 등 특검 둥지 구성 마무리 단계

[아시아경제 정준영 기자] 특별검사 수사본부가 꾸려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사무실이 윤곽을 갖췄다. 박영수 특별검사는 13일 오전 지하철 2호선 선릉역 인근 대치빌딩 18층 사무실로 출근했다. 특검팀은 해당 빌딩 17~19층에 수사본부를 구성하고 전날부터 속속 입주를 시작했다. 이규철 특별검사보(대변인)는 “파견검사들도 내일(14일)까지 모두 (대치동 사무실에) 입주해 기록검토 및 분석 작업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수사본부 내부는 층마다 조사실을 겸한 검사실이 중앙 통로를 따라 양쪽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췄다. 파견검사 한 명당 수사관 두 명을 배치하는 3인 1조 구성을 기본으로 이미 각 사무실에서 수사기록 검토 등 업무에 착수했다. 사무실이 갖춰지는 동안 별도 공간을 마련해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가 인계한 수사자료를 보관하며 검토·분석해 온 특검팀은 이날까지 추가로 수사기록을 옮겨왔다.

13일 특별검사팀이 검찰로부터 인계받은 수사기록을 서울 강남구 대치동 수사본부로 들여가고 있다.

특검팀은 파견검사 20명에 더해 파견공무원 40명에 대한 인선도 마무리에 들어갔다. 40명 정원의 특별수사관은 현재 20~30명 정도 확보한 상태로 추후 수사경과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추가 영입할 방침이다. 조사과정 전체를 영상으로 기록하는 영상녹화조사실도 19층에 2곳 확보됐다. 영화·드라마 등에서 그려지는 조사실 밖에서만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유리가 설치된 조사공간이다. 특검팀은 영상녹화조사실 한 두곳을 추가할 계획으로 박 특검의 집무실이 마련된 18층을 제외하면 17층, 19층은 유사한 구조를 갖추게 된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진상 규명에 착수한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13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사무실 내부를 언론에 제한적으로 공개했다. 사진은 영상녹화조사실.

특검팀은 국정비밀 유출의 핵심 물증인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구속기소)의 휴대전화 녹음파일, 비선실세 최순실(구속기소)씨의 태블릿PC 등 앞서 검찰이 확보한 전자기기에 담긴 단서를 분석·추출할 수 있도록 디지털 포렌식 장비도 다수 구비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통신망을 제외하면 사무실 내부 설비는 마무리 단계로 전날까지 통행이 자유로웠던 특검팀 입주 3개 층의 비상계단 출구도 출입카드 없이는 드나들 수 없게 됐다. 사무실 입구는 경비 인력이 출입자를 통제한다. 특검팀은 수사기록 검토 결과를 토대로 가급적 금주 내 수사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팀내 업무분장을 확정할 방침이다. 조직·공간 구성을 마친 박 특검은 조만간 현판식과 더불어 수사개시를 공식화할 계획이다. 정준영 기자 foxfur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준영 기자 foxfur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