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는 중산층③]수입은 제자리…가계부채 1300조 넘었다

가계부채 증가 속도 빨라 가계신용잔액 1300조원 돌파가계대출로 이자 부담 커져, 중산층 붕괴 우려가구당 월평균 가구소득 상승률, 0%대

.

[아시아경제 임혜선 기자]금융업에 종사하는 김 모씨는 최근 친목 모임을 멀리하고 쇼핑도 자제하고 있다. 얼만 전 집을 사면서 허리띠를 졸라 맨 탓이다. 2년마다 전셋집을 구하러 다니기도 만만치 않은 데다 부동산 담보 대출 금리가 저렴하다는 생각에 적지 않은 빚을 내 서울 용산구에 작은 아파트를 구입했다. 빠듯하지만 원리금 상환이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미국여파로 시중 금리가 오르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자가 늘어나는 만큼 소비를 더 줄여야 한다는 생각에 둘째 계획도 미뤘다. 가계 부채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가운데 금리가 오르면서 중산층 붕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 침체로 소득은 줄어드는 데 가계대출로 인한 이자 부담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분기 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 금융사들의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 잔액은 1295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분기 대비 3.0%(38조2000억원) 증가한 수치다. 4분기 첫 달인 지난 10월 은행 가계대출은 7조5000억원 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계신용 잔액은 이미 1300조원을 돌파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국내 대출금리도 오르고 있다. 문제는 가계부채의 70%가량이 변동금리대출이라는 점이다. 시중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국내 전체 가계의 이자 부담은 연간 11조원 수준으로 늘어난다. 은행에 빚을 진 사람의 이자 부담이 커지는 셈이다.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월말 기준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율이 40%를 넘는 한계가구는 134만가구로 전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12.5%에 달했다. 소득이 증가하면 한숨 돌릴 수 있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김진평 삼성선물 연구원은 "가계소득 상승률, 임금 상승률은 정체된 반면 가계부채 규모가 급증하는 현상이 수년간 나타나고 있다"며 "실질 소득이 제한되는 가운데 부채가 급증해 가계의 소비 확대가 제한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가계부채 상승률은 지난해부터 빠르게 상승해 올해 10% 수준으로 높아졌다. 반면 가계소득 상승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전까지 6% 수준을 유지하다 최근 1% 미만으로 떨어졌다. 가구소득 상승률은 지난해 3분기 0.7%로 떨어진 뒤로 5분기 연속 0%대를 유지하고 있다. 물가 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 증가율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1% 줄었다. 실질소득 증가율 역시 지난해 2분기 2.3%에서 3분기 0.0%로 내려간 뒤 지난해 4분기와 올해 1분기에는 각각 -0.2%를 기록했다. 올 4분기와 내년 1분기 민간소비 둔화 가능성이 커지는 이유다.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가계부채가 소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고 내실 있는 성장을 하기 위해 서는 부동산 경기에 대한 정부의 정책 방향을 명확하게 수립해야 한다"면서 "채무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가계부채 구조 개선을 지속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채무부담이 큰 저소득층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유통부 임혜선 기자 lhs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