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위무사' 친박 중진들, 왜 朴대통령 명예퇴진 카드 꺼냈나…출구전략 or 교란작전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호위무사를 자처해온 새누리당의 친박(친박근혜) 중진들이 28일 박 대통령에게 '명예퇴진'을 건의하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치권에선 박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 소추안 의결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친박 진영이 본격적인 '출구전략' 모색에 나섰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반면 야당은 친박들의 집단 움직임이 탄핵 전선을 교란하기 위한 꼼수라며 경계를 나타냈다.

왼쪽부터 최경환, 서청원, 이정현, 홍문종, 조원진 등 친박 중진 의원들 / 사진=아시아경제DB

◆서청원 의원 주도, 일부 친박 중진 동의=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서청원·정갑윤·최경환·유기준·윤상현·정우택·홍문종·조원진 의원 등 친박 중진 의원 8명은 이날 비공개 오찬 회동을 열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박 대통령이 남은 임기를 채우기보다 스스로 물러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참석자들은 친박 맏형격인 서 의원이 이런 방안을 제안했다고 전했다. 참석자 대부분도 공감했다는 설명이다. 이들은 만약 탄핵안이 본회의에서 의결될 경우 여당과 한국 사회가 직면할 혼란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장 180일이 소요되는 헌법재판소의 심판동안 박 대통령은 직무정지 상태에 머물게 된다. 또 국정도 올스톱될 가능성이 크다. 이 때문에 탄핵까지 가지 않고 대통령 스스로 물러서는 방안에 공감했다는 설명이다. 참석자들은 회동 직후 청와대 정무수석에게 전화를 걸어 박 대통령의 명예퇴진을 간접적으로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구체적인 퇴진 시기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전날 각계 지도층 원로들이 늦어도 내년 4월까지 박 대통령이 '질서있는' 퇴진을 해야 한다고 시한을 못박은 것과 대조된다. ◆"사회 혼란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 VS "꼼수일 따름"= 서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어려운 시기를 어떻게 극복해야 할지 논의를 많이 했다"고 밝혔다. 그간 친박 중진 의원들이 잦은 모임을 통해 정국 대응 방안을 논의해 왔으나 박 대통령의 명예퇴진 건의는 이날 처음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강경 친박들은 그동안 탄핵안 발의와 의결을 저지하는데 전력해 왔다. 하지만 당내 비주류 의원들이 대거 탄핵에 찬성하는 움직임을 드러내면서 친박계 안에서도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는 분위기가 무르익었다. 아울러 매주 토요일 100만명 넘는 시민들이 청와대 앞 광화문 광장에서 벌이는 촛불시위는 되돌릴 수 없는 성난 민심을 확인시켰다. 이 같은 분위기는 최근 일주일간 여당 친박은 물론 비박(비박근혜) 진영에서도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위한 6인 중진회의에 참여 중인 한 비박계 의원은 이날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이미 대통령께서 어느 정도 판단을 하실 것이란 기대감이 있었기에 친박·비박 회의도 구성됐던 것"이라며 "순리대로 풀어갈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이제는 대통령 퇴진 이후 혼란을 걱정할 때= 다만 비주류 지도부의 한 인사는 "지금 박 대통령이 내밀 수 있는 카드는 사실 '버티기' 외에는 없다"면서 "이를 잘 알기에 최근 비박 진영에서도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의 퇴진을 강하게 요구하는 게 무의미하다는 의견이 팽배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제 대통령 퇴진 이후의 혼란을 어떻게 수습할지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야당은 여당 친박 중진들의 급작스러운 박 대통령 퇴진 요구에 조만간 이뤄질 탄핵안 발의와 본회의 처리를 저지하려는 꼼수가 숨어있다는 의구심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야당 측은 "이제까지 그런 제안이 한두 번 나온 게 아니다"라고 밝혔다.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도 페이스북에 "친박 중진들의 질서있는 퇴진 주장에도 박 대통령의 결단은 없고 이미 실기했다"며 "탄핵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실제로 이날 친박 중진들의 회동 직후 일부 참석자들은 "서 의원이 강하게 명예퇴진을 주장했을 뿐 다른 의원들이 (모두) 찬성하는 분위기는 아니었다"고 못박았다. 일부 참석자들의 주장과 동의가 있었을 따름이지, 전반적으로 합의한 적은 없다는 설명이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