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철응 기자]금융당국이 은행권 가계대출 전수조사를 통해 차주(借主)들의 소득과 원리금 상환 부담 등 정밀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내년 4월까지 구축한다. 가계부채의 총량이 급증하고 있으나 질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어딘지 파악할 통계가 미비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세밀한 진단이 나오면 맞춤형 대책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감독원은 ‘가계부채 미시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업자를 공모 중이며 사업 기간은 내년 4월까지라고 14일 밝혔다. 가계부채가 1300조원 수준에 이르러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그 속에는 차주의 상환능력이 우수해 위험도가 낮은 부채와 간신히 원리금을 갚고 있거나 이미 연체된 부채가 혼재돼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채의 집을 가진 소득 상위 계층 자산가가 투자 목적으로 돈을 더 빌리는 것과 저소득층의 생계형 대출이 구분되지 않는데 이를 떼어내야 각 차주 상황에 맞는 대책이 가능하다. 금융당국도 이같은 점을 감안해 질적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려는 것이다. 우선 금융정보교환망(FINES)을 이용해 국내 은행의 가계대출 전체 차주에 대해 ‘계좌별 대출 현황’ ‘차주별 전 금융권 대출 현황’ 2종의 조사항목을 수집한다. 추후 보험이나 여신전문, 저축은행 등으로 자료 수집 범위를 확대한다. 차주의 연령, 소득, 신용등급, 직업 등과 대출의 금액, 거치기간, 상환 원리금, 용도 LTV(담보비율) 등 60여가지의 세부적인 현황을 파악한다. 방대한 규모의 대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주택담보대출의 금액대·연령대·차주의 소득원별 현황, 은행권 대출종류별 가계대출 잔액, 금융권 가계대출 연체율, 저신용·다중채무 현황, 소득분위별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 은행권 가계대출 자금용도별 현황 등 통계를 뽑아낸다. 위기 상황이 닥쳤을 때 가계부채 위험도를 미리 파악하기도 한다. 대출금리 상승이나 차주의 연소득 감소 시나리오를 적용해 상환 비율의 변화를 산출하는 것이다. 시나리오별로 소득과 비교한 원리금 상환액이 임계점을 넘어서는 한계차주군을 분석하고, 지역별로 차등화된 집값 하락 시나리오를 적용해 LTV 비율이 경매낙찰률을 고려한 임계점을 넘어서는 대출 비중을 분석한다.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철응 기자 her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