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알고 싶다' 강화유리 뚫는 살수차의 위력, 진실은 저 너머로

살수차 위력시험(사진=SBS '그것이 알고 싶다' 방송 캡쳐)

[아시아경제 송윤정 인턴기자] '그것이 알고 싶다' 물대포의 어마어마한 위력이 고스란히 전해졌다.22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살수차 9호의 미스터리, 백남기 농민 사망사건의 진실 ’편이 방송됐다. 지난해 11월 14일 민중총궐기에서 물대포를 맞고 의식불명에 빠진 뒤 사망한 故 백남기 농민에 대한 사인을 추적했다. 제작진은 경찰이 살수차 사용의 안전성에 대한 증거로 제출한 물대포 안전성 테스트 보고서(2008년)를 입수했다. 또한 보고서에 기재된 경찰의 살수차 위력 실험과 똑같은 조건의 실험을 준비했다. 그 결과 경찰의 실험 영상과는 달리 5mm의 강화유리는 수압 7바에서 완전히 깨졌다.하지만 경찰관계자는 “아마 이때 실험에서 만약에 파손이 됐으면 파손됐다고 이렇게 기재가 돼 있을 텐데”라며 제작진의 실험결과 내용을 인정하지 않았다. 또한 살수차 운용지침에는 살수차 사용 시 시위대와의 거리에 따라 물살 세기에 차등을 두고 안전하게 사용해야한다고 명시돼 있다. 문제는 살수차 내부에서는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가 따로 없다는 점이다. 백남기 씨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청문회에서 “거리를 측정했냐”는 질문에 충남살수차 9호 운용요원 한모 씨는 “네. 평소 교육 받을 때 거리별로 살수를 연습했다”며 “그날도 지형지물, 건물 위치 이런 것들 확인하면서 거리를 짐작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살수차 운용지침에 따르면 직사살수 시 안전을 고려해 가슴 이하 부위를 겨냥하여 사용해야한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한씨는 가슴 아래가 아닌 머리를 향해 겨냥했다. 이에 한씨는 “당시 CCTV로 밖의 상황을 볼 수 밖에 없었다. 살수차 물줄기에 가려서 시야가 제한돼 보이지 않았다”고 답했다.한편 진행자 김상중은 “정당한 공무 집행이라면 이 모든 것은 숨겨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사망의 원인이 분명해 보이는 매우 단순한 사건이 복잡해 진 것은 부검의 필요성 강조와 사인에 대한 논란이 커졌기 때문이고 사건의 본질이 사라진 것이 아닌가 싶다”고 일침을 날려 시청자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송윤정 인턴기자 singaso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디지털뉴스룸 송윤정 인턴기자 singaso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