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연합뉴스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 사망사고 당시 기관사가 열차를 다시 출발하기 전 두번 가량 정차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정윤영 서울도시철도공사 지도조사처장은 20일 오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김포공항역 사고경위 보완 설명회를 가지고 사고 전동차가 두 차례 멈칫한 끝에 세 번째에 완전히 재출발했다고 밝혔다.이날 도시철도공사가 밝힌 사고발생 상황 조사결과에 따르면 사고열차는 이날 오전 7시14분44초에 김포공항역에 처음 도착했고 약 20초간 출입문과 승강장안전문을 개방한 뒤 닫았다.이후 열차는 출발했지만 승객경보로 인해 36㎝를 이동한 후 정차했다. 이때 한 남성 승객이 내부비상벨(인터폰)로 '출입문을 열어주세요'라고 알림에 따라 열차 출입문을 약 27초간 개방한 뒤 출입문을 닫았다. 이때 승강장안전문은 개방되지 않은 상태였다.이후 열차는 출입문을 닫고 1차 재출발을 했다. 사망자는 이 때 열차 출입문과 승강장안전문 사이에 같인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재출발 3초 만에 승강장안전문 4-1 지점 상부에서 진동이 느껴짐에 따라 다시 정지했고, 오전 7시16분15초부터 약 11초간 정차하다가 다시 출발했지만 인터폰 발생에 따른 비상제동으로 열차가 오전 7시16분32초에 다시 정차했다. 열차는 약 16초 뒤인 오전 7시17분48초에 완전히 다시 출발했다.열차 출발한 이후 7초 뒤인 오전 7시17분55초에 3-4지점 비상 출입문으로 사고승객이 밀려나오면서 사고가 발생했다. 기관사는 승강장을 벗어난 후 개화산역에 도착해서야 사고를 인지한 것으로 알려졌다.기관사는 오전 7시15분경 김포공항역 정차 후 출발하려고 할 때 승객경보와 남자승객의 통화로 출입문을 개방했고, 이후 재출발 할 때 열차 자동 멈춤으로 관제에 상황보고를 한 후 수동모드로 전환해 출발했다고 진술했다.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당시 전동차 출입문 동작 상태와 승강장안전문 동작 상태는 정상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당시 승강장안전문이 열리지 않았던 사유는 안전문이 닫히는 과정에서 장애물 센서에 이물질이 검지되면 자동으로 열리지만, 닫힘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센서 기능이 종료돼 수동 버튼을 누르지 않는 이상 열리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정 차장은 출입문 열어달라는 승객의 신고 들어왔으면 출입문뿐만 아니라 승강장안전문도 열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메뉴얼 상 기관사에게 승객 비상통화가 오면 확인을 해야 한다는 규정은 있다"면서도 "자세한 내용은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밝히기 힘들다"고 말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