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생산 420만2000t…수요초과분 연내 매입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쌀 수확기 수급안전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올해 쌀 420만2000t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된다.7일 통계청이 발표한 쌀 예상생산량에 따르면 2016년산 쌀 생산량은 420만2000t으로 지난해 432만7000t 보다 12만5000t, 2.9% 줄어들 전망이다.통계청은 벼 재배면적이 지난해 79만9344㏊에서 77만8734㏊로 2.6% 줄었고, 1000㎡당 쌀 생산량도 540㎏으로 지난해보다 2㎏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벼 낟알이 형성되는 시기인 7월부터 8월까지 기상여건이 좋아 낟알 수는 늘었지만 낟알이 익는 시기인 9월에 일조시간과 일교차가 감소해 지난해보다 쌀 생산량이 줄어들 것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쌀 생산량은 지난 2011년 422만t을 기록했다가 2012년 401만t으로 감소한바 있다. 그러나 2013년과 2014년 각각 423만t, 424만t으로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는 기상호조로 433만t으로 최근 5년내 최고치를 기록했다.시도별로 전남이 84만8000t으로 가장 많은 쌀 생산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어 충남 77만9000t, 전북 68만6000t, 경북 57만4000t 순이다.쌀 생산량은 전국 6500개 표본구역에서 지난달 15일부터 22일까지 실측조사를 통해 포기수, 이삭수, 낟알수, 지역별 낟알 무게 등을 통해 산출하고 있다.

연도별 벼 재배면적 및 쌀 생산량 추이(자료:통계청)

한편 정부는 올해 쌀 생산량 가운데 수요를 초과하는 쌀은 연내 매입해 시장 격리키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쌀을 대략 385~390만t을 소비할 것으로 예상, 시장격리물량은 30~35만t 수준으로 예측된다.농식품부는 조속히 격리물량을 잠정적으로 산정하고 다음달에 실제 수확량이 나오면 격리물량을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또 공공비축미로 36만t, 해외공여용 3만t을 연내 매입한다.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