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는 빈 어항을 만난다. 내일은 물고기를 키울까. 그러면 물고기의 내일이 사라지겠지. 저녁에는 버스하고 돌아다닌다. 가득 차 있는 빈 의자 사이에 빽빽하게 비어 있다. 집에 돌아와 불을 켜자 형광등이 나가 버린다. 나가 버린 형광등을 들고서 집을 나간다. 형광등과 똑같은 형광등을 데리고 돌아온다. 배경음악하고 마주앉아 밥을 먹는다. 어제도 들었던 노래고 나는 똑같이 따라 부른다. 빈 의자에 빈 어항이 놓여 있다. 빈 어항에서 부드러운 배경음악이 밤새 흘러나온다. 부드러운 바람이 밤새 지나간다. 똑같은 나뭇잎 모가지들이 모두 떨어져 나가고 물고기들이 입에서 흘러나와 바깥으로 날아간다.
난 이 시의 제목이 왜 "여섯 번째 트랙"인지 그 이유를 모르겠다. 그런데 희한하게도 '다섯 번째'나 '여덟 번째'가 아니라 "여섯 번째 트랙"이라고 적는 게 적확하다는 확신이 든다. 어떤 가늠하기 어려운 망막하고 고된 쓸쓸함 때문이다. 시인에게는 좀 미안한 말이지만, 이 시를 읽고 문득 입가에 맴돈 건 씨스타가 부른 '나 혼자'였다. "나 혼자 길을 걷고 나 혼자 TV를 보고 나 혼자 취해 보고 이렇게 매일 울고불고…." 물론 이 시를 쓴 시인은 "울고불고"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억지로 몸을 뒤틀지도 않는다. 다만 담담하다. 오히려 담담해서 오로지 담담하기만 해서 그 담담함 속에서 참 큰 울음소리가 들린다. "내일이 사라"진 "빈 어항"만큼, 저녁 버스 속에 "가득 차 있는" "빽빽하게" "빈 의자"들만큼 말이다. 어쩌면 우리 모두 관중도 동료 선수도 아무도 없는 빈 트랙을 그저 "여섯 번째 트랙"과 함께 수십 번 수백 번 "어제도" 그랬듯 돌고 다시 돌고 있는 건지도 모르겠다는 그런 도무지 헤어날 수 없는 생각마저 든다. 무참하다. 채상우 시인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