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이 지난 2일 서울 태평로 삼성본관에서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 조사결과·리콜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갤럭시노트7 배터리 문제로 위기에 휩싸인 삼성전자가 '위기를 기회로' 만든 백혈병 사고 대처법의 궤적을 걷고 있어 주목된다. 사고가 발생한 이후 즉각적인 사과와 함께 후속대책을 내놓는 등 백혈병 논란 당시의 위기 돌파를 재현하고 있는 것이다. 백혈병 논란에서 보여준 삼성의 위기 관리 능력이 갤럭시 노트 7 배터리 문제 해결에 어떻게 작용할지 눈길을 끈다. UN인권이사회는 15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삼성전자의 반도체 직업병 문제와 관련해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사과하고, 사고 예방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는 등 (삼성측의) 후속 조치를 환영한다"고 밝힐 예정이다. 이는 "삼성이 백혈병 예방에 대해 의미 있는 논의를 하는 것에 관심이 없어 보인다"는 지난해 10월 바스쿠트 툰작 UN 인권특별보고관이 방한 당시 밝힌 내용과는 전혀 다른 평가다. 종전에는 삼성이 사태 해결에 의지조차 없다고 비판했지만 그새 시각이 180도 달라져 삼성측의 사과와 후속 조치를 인정했다. 앞서 UN인권고등판무관사무소(OHCHR)는 11일 '환경적으로 안전한 관리 방안과 유해화학물질ㆍ폐기물 처리에 관한 인권 영향과 방한 결과에 대한 특별보고관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내용은 15일 UN인권이사회에서 공식 발표된다. 보고서는 "삼성이 전직 근로자 110명에게 보상을 함과 동시에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작성한 사과 편지를 전달했다"며 "사고 예방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개선방안을 권고하는 제3의 멤버인 옴부즈만 위원회 설립에도 합의해 이를 환영한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삼성이 사태해결을 위해 진일보한 변화를 취한 점을 언급하면서 "삼성이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취한 내부적 변화와 노력을 인정한다. 협력과 개방성, 지속적 대화 노력을 평가한다"고 밝혔다. 세계적인 인권기구인 UN인권위원회가 입장을 선회한 데에는 삼성의 '읍참마속'에 대한 선의와 의도를 시장에서 인정하고 받아들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논란이 되는 문제를 피하거나 외면하지 않고 정면대응함으로써 기업의 신뢰를 지키려는 그간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 셈이다. 이같은 삼성의 정면대응은 최근 불거진 갤럭시노트7 배터리 문제에서도 현재까지는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백혈병 사태 때 권오현 부회장이 사과를 한 것처럼 갤럭시 노트 7 사태에서도 고동진 무선사업부 사장이 고개를 숙였다. 이어 배터리 불량으로 인해 초기에 판매된 250만대 '전량 리콜'이라는 정공법을 택했다. 그로 인해 1조원 이상의 매출 타격이 예상되지만 시장에 대한 신뢰를 더욱 엄중하게 받아들였다. '돈은 다시 벌면 되지만 신뢰는 한번 잃으면 다시 회복하기 어렵다'는 절박한 심정이 강도 높은 조치로 이어진 것이다. 전문가들은 시장과 소통하려는 삼성의 행보를 의미 있게 보고 있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장)는 "삼성전자는 외국인 지분이 확실히 많아 주인이 단순히 국내에만 있다고 볼 수 없고, 다국적 기업으로서 제대로 된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고 본다"며 "그동안 폭스바겐, 도요타 등의 사태를 바라보며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기업가치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미애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갤럭시노트7 사태 해결방식은 삼성이 제품에 대해 끝까지 책임지겠다는 신뢰를 준 것"이라며 "단기적으로 비용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략"이라고 전했다.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