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여자傳①]'오직 홍어'라는 이름을 지닌 그녀는, 너무 예뻤다

빈섬스토리 - 조선말 부패권력을 주무른 여인 '나합'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아시아경제 이상국 기자]4월 영산강변은 유채꽃 반 나비 반이다. 늘어진 버들은, 남자는 배 여자는 항구로 갈리는 서러운 이별가에 몸을 떠는 듯 하늘거린다. 호남 최대의 포구에 누렁돛배 흐를 때 나루터 주막에는 홍어를 찾는 식객이 흘러넘친다. 나주 곰탕 국물에 홍어, 묵은지, 막걸리를 곁들인 홍탁을 펼쳐놓고 입맛을 다시거나 홍어애보릿국을 뜨는 술꾼들은, 작가 황석영이 홍어맛을 처음 본 뒤 터뜨렸다는 그 기분에 휩싸인다. “참으로 이것은 무어라 형용할 수 없는 혀와 입과 코와 눈과 모든 오감을 일깨워 흔들어버리는 맛의 혁명일세.” 큼큼하고 노릿노릿하고 흉흉하다는 홍어애로 끓인 보릿국은 둘이 먹다가 하나가 죽으면 두 그릇 먹는다는 그 클클한 맛이다. 나주에 홍어 요리가 정착하게 된 것은 고려말이었다. 정부는 흑산도 주민들이 왜구에 시달리자 아예 섬을 비워버리는 공도(空島)정책을 쓴다. 흑산도 어부들이 몰려온 이후로 나주 영산포는 홍어1번지가 되었다.

조선말의 요녀 '나합'

영산포 중에서도 내영산 마을 건너 삼영리 포구 부근에 양지홍(梁只洪)이란 소녀가 살았다. 양지홍이 태어난 해는 분명하지 않으나, 그녀가 태어날 때 이서구(1754-1825)가 전라감사로 있었다는 일화를 고려하여 따져보면 1820년(순조20년 을유년) 경이었을 것이다. 실학자 이서구는 천문지리에도 밝았다. 어느 날 점을 쳤는데 나주 삼영리가 예사롭지 않았다. 그래서 사람을 시켜 혹시 거기 막 새로 출생한 아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중얼거렸다고 한다. “사내 아이가 태어났다면 나라를 결딴낼 만하고, 계집이라면 세상을 시끄럽게 하겠구먼.” 나주로 달려 알아보고 온 사람이 “홍어요리 주막을 하는 양씨집에 여아 하나가 태어났다”고 전하니, 그는 “다행히 남자가 아니어서 아이 하나 벨 일을 면했구나”라고 말했다. 전라감사는 다시 사람을 보내 아이가 홍어집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오직 홍어’라는 뜻으로 ‘지홍(只洪)’이란 이름을 내려주도록 하라고 했다. 이서구의 혜안은 지금도 입에 오르내린다. 그는 현재의 논산 훈련소 부근의 죽평리를 지나면서 “이곳은 닭이 알을 품고 있는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 지형”이라고 지적했는데, 그뒤 이곳은 닭이 알을 품듯 아들들이 번창한다는 의미로 구자곡(아홉아들 골짜기, 九子谷)이라 불렸다. 죽평리에는 대한민국의 아들들이 몰려와서 열심히 군사훈련을 받고 있으니 틀리지 않은 셈이다. 그건 그렇고, 달사(達士) 이서구가 이름까지 지어준 '위험한 여자' 지홍. 불행인지 다행인지 지홍이는 홍어만 만지고 살기에는 너무 예뻤다.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디지털뉴스룸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