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금융회사가 대출 심사를 할 때 대출자의 보험가입 정보를 활용하게 된다. 보험료를 연체하지 않고 잘 내면 대출 금리가 낮아지는 식이다. 은행과 보험 정보가 업권별로 분산돼 있어 종합적인 신용평가가 곤란했으나 지난 1월 출범한 신용정보원이 업권별 데이터를 모아 빅데이터를 구축하면서 통합분석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금융위원회는 신용정보원이 보유한 금융권 신용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업무 추진계획을 25일 발표했다.통합 구축된 빅데이터는 신용리스크 평가 모형을 정교하게 하는데 활용된다. 대출과 보험 간 연관관계 분석, 보험가입자의 연체 특성 분석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이동렬 신용정보원 정보분석부장은 “대출을 원하는 사람이 보험료를 제대로 내고 있다면 신용등급을 산정할 때 유리한 조건을 갖추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또 금융기관이 주택담보대출자의 부채 상환능력을 실질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로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실질 DSR은 신용정보원으로 모인 원리금 상환정보를 바탕으로 대출자의 부채 상환능력을 정밀하게 산출한 값이다. 지금까지는 대출자의 총부채상환비율(DTI) 또는 표준 DSR로만 부채 상환능력을 평가해 왔다. DTI는 대출자의 소득 대비 금융부채 상환능력만 확인한다는 한계가 있었고, 표준 DSR은 기타부채 원리금상환액까지 반영하긴 하지만 원리금 상환규모는 표준 대출자로 가정해 추정만 하는 한계가 있었다.가입한 보험상품의 세부 보장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가칭)보험다보여’ 서비스와 민영보험사·공제기관의 가입내역을 통합 조회할 수 있는 ‘보험사기다잡아’ 시스템도 내년 상반기 중 선보인다. 기술신용과 신용정보를 연계 분석해 기술력이 뛰어난 기업이 자금 확보를 원활하게 하도록 지원한다. 또 소액 대출자 분석 정보를 제공해 핀테크(금융+기술) 기업이 개인 고객의 특성을 파악하기 쉽게 한다. 신용정보 유출 우려에 대해서는 “어떤 정보까지를 알아볼 수 없는 비식별로 볼 것인지에 대해 현재 검토 중이고, 암호화된 정보를 알아볼 수 있도록 재식별화 하는 문제가 생긴다면 엄벌에 처한다는 방침”이라고 금융위는 설명했다. 신용정보원은 빅데이터 업무의 안전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문기구를 구성하기로 했다.신용정보원은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분석보고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내년엔 금융권에서 활용 가능한 빅데이터 전용 홈페이지를 개설할 계획이다.김민영 기자 my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민영 수습기자 my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