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아시아경제 성기호 기자]새누리당이 붕괴된 지도부 재건과 쇄신을 위한 비상대책위원회와 혁신위원회가 좌초 되면서 깊은 수렁 속으로 빠져들었다. 20일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혁신형 비대위'를 만들기로 가닥을 잡았지만 최종 결정권은 정진석 원내대표에게 넘어간 상태이다. 하지만 친박(친박근혜)의 실력행사로 비대위와 혁신위 조직을 위한 상임전국위가 좌초된만큼, 정 원내대표가 결정을 내려도 그 선택을 두고 당내 논란은 계속 될 전망이다. 당 안팎에서는 총선 패배 이후에도 끊임없이 계속되는 새누리당의 계파 다툼은 결국 당권을 장악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론의 따가운 질타를 감수할 만큼 각 계파간 상황이 다급한 것이다. 친박과 비박(비박근혜) 갈등의 가장 큰 핵심은 '총선참패책임론'에 있다. 친박에서는 모두의 잘못이라고 말은 하고 있지만 결국 비박의 대표였던 김무성 대표의 책임론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총선을 관장했던 김 전 대표가 '180석'을 거론하며 정무적인 판단을 잘못해 선거에서 패배했다는 것이다. 특히 공식 선거운동 직전 '옥새파동'으로 지지자들이 대거 이탈한 것을 문제 삼고 있다. 이에 대해 비박은 친박 책임론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 총선에서 가장 중요한 공천권을 친박이 가져갔기 때문에 그들에게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 관리 하에 있었던 '유승민 탈당' 문제 등 공천과정이 문제인 것이고 김 전 대표의 '옥새파동'은 그 과정에서 생긴 해프닝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비박은 총선 이후 줄 곳 친박책임론과 이들의 2선후퇴론으로 맞서고 있다. 새누리당내 총선참패책임론은 결국 다음 전당대회에서 새로 구성될 당 지도부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이 분명한 총선참패책임론을 어느 계파가 뒤집어쓰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 전당대회는 당권을 잡는 다는 의미도 있지만 대권의 향방을 가를 것이라 더 중요하다. 당권을 잡는 새 지도부가 다음 대선의 경선을 관장하는 역할을 맡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양 계파는 전당대회 관련해서도 의견이 명확하게 갈라지고 있다. 친박에서는 조기 전당대회로 몰아가고 있다. 전당대회가 빨리 치러질수록 구체적안 당쇄신안 마련 전에 기존 구도대로 친박이 당권을 잡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반면 비박계는 최고위원회 체제 개편, 단일지도체제 마련, 당ㆍ대권 분리 철폐 등 친박의 주도권을 허물 수 있는 당 쇄신안이 나온 뒤에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양 계파의 갈등은 조만간 발간될 당내 총선백서 발간 시기를 기점으로 또 다시 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 선거 결과 원내 2당이라는 충격적인 총선결과 분석하고 반성하기 위해 만드는 이 백서에서, 어느 한쪽의 책임이 강조될 경우 이를 두고 공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백서의 발간 시점이 전당대회 이전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이를 둘러싼 당내 갈등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