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고자질은 내시의 짓?

고자질은 고자의 짓?

거세한 내관들이 귓속말로...

역사적으로 봐도 그럴듯 한데...

고자질의 원조는 단군이었다고?

고자질은 밀고자의 짓

찔러바치는 게 원래 고자질의 뜻

씨가 텅 비었다고 고자라...

조고의 아들같은 놈이란 욕에서 나왔다는 설도...

'사기'를 쓴 위대한 사마천도 사실은 환관인데...

고자질의 고자는 告者나 告子, 혹은 告刺로 쓴다. 첫번째 告者는 하늘에 고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신성한 호칭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밀고자(密告者)의 의미로 쓰이면서 세속화되었다. 몰래 알리는 자라는 의미로, 이것이 가장 그 말의 유래에 가까워보인다.두번째 告子는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사이에 쏙 끼어들어, 인간은 선인으로도 악인으로도 태어나지 않았으며 다만 교육에 따라 갈라질 뿐이라고 중재안을 내놓은 위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람이 한 일을 고자질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교육의 힘을 알리고 그것이 본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신의 메시지를 고자질한 사람으로 본다면 이 또한 버릴 얘기는 아니다.세번째 告刺는 예로부터 쓰이던 말로, 우리 말로 하면 '찔러바침'이란 의미다. 고자질의 원뜻에 가장 가깝다. 옛 문헌이나 오래된 신문(1991.8.10. 경향신문 '여적')에서도 발견되는 말이다. 요즘도 "상부에 찔러버리겠다, 언론에 찔러버리겠다"는 협박을 일삼는 이가 많으니 옆으로 쿡 찔러 전한다는 '찌를 자(刺)'의 의미가 생생하게 살아있다.그렇다면 고자질 = 내시질이란 등식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고자(庫子)는 궁궐이나 관청의 비품을 지키는 관직이었다. 특히 궁궐의 경우, 고자는 대개 환관이었기에 고자(鼓子)와 넘나들며 쓰였을 가능성이 있다.또 진나라 환관 조고(趙高)는 사람을 가리켜 말이라고 해도 따른다는 고사를 낳은 전횡적인 정치가인데, 이 환관에 대한 강한 트라우마가 사람들에게 남아 사람을 욕할 때 '조고의 자식(高子)'이라고 욕했고, 그 뜻은 고자(鼓子)라는 의미였다고 하니 이래저래 환관과 고자는 자주 같이 다니는 낱말이었음엔 틀림없었던 것 같다.어원을 살펴보노라면, 이 낱말이 함의하는 행위에는 권력관계가 숨어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즉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몰래 알려주는 것이다. 원래 하늘에 고해 바치는 사람에게서 나온 점도 그렇고, 찔러바치다는 고자(告刺)에도 그런 뉘앙스가 남아있으며, 우리 말을 '일러바치다'에도 상하관계가 엿보인다. 즉 고자질은 권력을 충동시켜 정치적인 이익을 얻으려는 행위라는 점이 낱말 속에 숨어있는 셈이다.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디지털뉴스룸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