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전세금 품어주는 HUG

전세금반환보증 1분기 8857억원…전년比 760%↑ 신상품 지속 개발…'전세금 안심대출보증' 등 출시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신규 주택 공급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전셋값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 주택 전셋값이 매매가격을 넘어서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다. 집 한 채 값에 육박하는 전세 보증금 상환에 대한 세입자들의 우려가 커지면서 관련 보증 상품이 지속 출시되고 판매 실적도 급성장하고 있다.2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전세 보증금을 안전하게 돌려받을 수 있는 '전세금반환보증' 상품은 올 1분기 8857억원(4087가구)이 팔렸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60% 증가한 것이다. 2013년 9월 출시된 이 상품은 지금까지 1만4363가구의 전세 보증금을 지켜주며 2조7428억원의 실적을 올리고 있다.전셋값 상승 추세가 지속되면서 HUG는 새로운 보증 상품을 내놓고 있다. 2014년에는 전세금대출보증과 전세금반환보증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전세금 안심대출보증'을 출시했다. 낮은 금리로 부족한 전세자금을 대출받고, 전세계약 종료 후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경우 HUG에서 집주인을 대신해 전세금을 반환해준다.이 같은 장점 때문에 '전세금 안심대출보증' 상품의 실적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상품은 올 1분기 4173억원(3047가구)을 판매했다. 이는 2015년 한 해 동안 판매한 1749억원의 두 배가 넘는 실적이다. HUG 관계자는 "이 상품 출시로 보증가입 한 번에 전세자금 대출과 깡통전세 우려를 덜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HUG는 올 3월 무주택·사회배려계층 등 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주택도시기금 재원의 버팀목 전세자금대출과 전세금반환보증의 개념을 결합한 '안심형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출시했다. 사회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기금 전세대출 영역의 전세보증금 보호 사각지대를 없앴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이 상품의 장점은 기금에서 저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세 계약 종료 후 1개월이 지나면 집주인의 사정과 무관하게 HUG에서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인 우리·KB국민·신한·KEB하나·NH농협·기업은행의 전국 지점에서 집주인의 동의 없이(채권양도 방식)도 가입할 수 있다. 다만 보증금은 수도권 3억원, 지방 2억원 이내여야 한다. 대출한도는 1인 기준 최대 수도권 1억원, 그 외 지역은 8000만원이다. 대상주택은 전용면적 85㎡ 이하의 전셋집으로, 선순위 권리침해가 있거나 무주택 세대주가 아닌 경우, 부부합산 연소득요건을 초과하는 경우 등은 가입이 불가능하다.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