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140자 제한 유지한다…잭 도시 CEO, '간결함이 장점'

잭 도시 트위터 CEO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그동안 트위터가 140자 제한을 폐지할 것이라는 루머에 대해 트위터 최고경영자(CEO)가 공식으로 반박했다.19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잭 도시(Jack Dorsey) 트위터 CEO는 전날 NBC의 인기 TV쇼인 '투데이'에 출연해 "140자 글자 제한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이로써 그동안 트위터 글자 수 제한을 1만자로 확대할 것이라는 루머에 종지부를 찍었다.잭 도시는 "(140자 제한을) 유지한다"며 "제한을 두는 것이 우리에게 간결함의 시간을 준다"고 말했다.블룸버그, 리코드 등 미국 주요 매체들은 지난 1월 정통한 관계자의 밀을 인용해 트위터가 140자의 글자수 제한을 폐지하고 1만자까지 허용하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트위터가 내부에 '140을 넘어서(Beyond 140)'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트위터가 140자를 유지하기로 한 것은 페이스북 등 경쟁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대비 차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인 것으로 풀이된다.트위터와 달리 페이스북은 글자 제한수가 없으며 사진과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를 적극 수용했다. 일부에서는 140자 제한을 유지한 것이 트위터가 페이스북과의 경쟁에서 밀린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하기도 했다.하지만 트위터가 140자 제한을 철폐할 것이라는 보도 이후 이에 대한 반발도 적지 않았다. 글자 수 제한을 폐지할 경우 '간결성'이라는 트위터의 강점마저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왔다. 트위터는 글자수 제한으로 인해 글을 최대한 축약해야 한다. 이는 트위터의 약점이자 강점이 되기도 한다.잭 도시는 140자 제한을 폐지하는 것보다는 유지함으로써 트위터의 강점을 최대한 살리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트위터는 지난해 8월 트위터 이용자끼리 주고받는 다이렉트메시지(DM)의 글자수의 제한을 140자에서 1만자로 확대한 바 있다.트위터가 140자 제한을 둔 것은 휴대폰 단문문자메시지(SMS)의 수가 140자로 제한돼 있었기 때문이다.잭 도시는 에반 윌리멈스, 비즈 스톤, 노아 글라스 등과 함게 트위터를 창업했으며 2007년부터 2008년까지 CEO를 맡은 바 있다. 그 뒤 CEO에서 물러났던 잭 도시는 지난해 10월 딕 코스틀로 전 CEO에 이어 트위터 CEO에 올랐다. 그는 스퀘어의 CEO도 겸직하고 있다.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