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최근 '미래기술 미래도시' 보고서 펴내...현재 기술 발달 속도·한국 특성 감안해 인공지능 발달이 미래 사회에 끼칠 영향 전망...로봇 드론 자율주행차 등 2040년대면 상용화...인간 삶 획기적으로 바뀔 듯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 9단. 사진 = 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AI) 알파고간 세기의 바둑 대결이 결국 이 9단의 1대4 패배로 끝났다. 하지만 이 대결은 승패를 떠나 '신의 경지'에 이른 알파고의 가공할 만한 능력에 인간들이 전율하는 파장을 일으켰다. 더불어 인공지능의 등장이 앞으로 우리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효과를 낳았다.
서울연구원은 최근 '미래기술과 미래도시'라는 제목으로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궁금증을 풀어주는 30년 후 서울의 모습을 펼쳐보였다.가장 실감나게 느껴지는 인공지능의 실체는 '전격 Z작전'의 키트처럼 혼자 알아서 움직이는 자율주행차의 대중화다. 2040년께는 모든 차량의 75%가 무인화될 전망이다. 그렇다면 키트와 같은 자율주행차들이 누비고 다니는 미래의 서울은 어떻게 변할까?
구글의 자율주행차(참고사진)
우선 '마이카'가 사라진다.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시간ㆍ장소에서 차량을 예약 호출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감가상각비나 세금, 보험금 등을 들여가며 차를 소유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로도 신호등이 사라지고 직각에 가깝게 설계된다. 자동으로 운전되는 차량은 굳이 눈으로 신호등을 볼 필요가 없이 전자 신호로 인식하게 되고, 좌회전ㆍ우회전을 위해 여유 공간을 두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주차장도 최소한의 공간만 남긴 채 대폭 축소되거나 차량 대기소 정도로 의미가 변하게 된다. 자율주행차는 사람과 달리 별도로 장시간 정차시켜놓을 필요가 없고, 기계적으로 주차가 이뤄지기 때문에 필요한 최소한의 동선과 면적만 있으면 된다. 이밖에 노령 운전자 등의 자동차 사고가 대폭 줄어 들어 교통사고보험의 필요성도 없어진다. 보고서에서 고준호 서울연구원 교통시스템연구실 연구위원은 "자율주행차는 도시의 교통과 도시계획, 사회구조, 산업구조 등에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인간형 다목적 로봇이 등장해 가사 노동을 대체할 것이라는 상상은 앞으로도 상당한 시간 동안 실현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0년 후에도 인간형 로봇이 부엌에서 야채와 고기를 다듬고 설거지를 대신해주는 상황은 벌어지기 힘들다는 것이다. 현재도 빨래를 개거나 케익을 자르는 수준의 로봇기술은 가능하다. 하지만 음식 준비를 위해 식칼을 든 대형 로봇, 게다가 감전ㆍ폭발 등 위험하기 짝이 없는 모터로 구동되는 로봇이 아이들이 뛰어 노는 실내에서 안전하게 작동한다는 것은 아무리 각종 센서가 발달해도 당분간은 힘들다. 굳이 음식 조리용 로봇을 들여다 놓으려면 아예 싱크대 주변을 차폐하는 수준의 안전장치가 필요할 정도다. 보고서를 작성한 배일한 카이스트 교수는 "다목적 로봇이 가전 제품으로 대중화될 가능성은 2045년이 되더라도 매우 낮다"고 예상했다. 또 로봇은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 인구 증가, 생산 인구 감소에 대한 정책적 대안으로 적극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노인들을 위한 간병ㆍ요양에 로봇을 적극 활용할 수 있고, 산업용 로봇의 적극적인 보급과 농업ㆍ건설 분야 확대 등을 통해 일손 부족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배 교수는 "노인들이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는 데 보수적일 것이라는 생각은 선입견에 불과하다"며 "실버로봇에 대해 단순한 노인 보호서비스기기가 아니라 어르신들의 사회 참여ㆍ경제활동 지원 도구로 재해석해서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구글 드론
로봇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준의 기술인 드론은 어떨까? 드론을 이용한 공중택배는 운송 산업의 미래를 뒤흔들 파괴적 기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심지어 2020년대 후반에는 1~3인승 무인 드론 항공기가 자동차를 대신해 수송용으로 활용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배 교수는 2040년 대에도 드론이 운송 수단으로 폭넓게 활용될 가능성은 낮다고 전망했다. 미국, 호주처럼 국토가 넓고 개인 주택이 대다수인 거주환경에는 드론이 적합할 수 있지만, 인구 절반이상이 고층 아파트에 거주하고 고층 빌딩과 복잡한 전선줄로 뒤덮인 서울과 같은 한국 도시에서는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배 교수는 "30년 후에 한국 정부가 드론 시장을 위해 인적이 드문 비행 구간에 안전 그물을 겹겹이 치고 막대한 비용을 들여서 비행관제시설을 갖춘다고 해도 시민들이 느끼는 추락 사고 등의 불안감을 거둘 수는 없을 것"이라며 "드론은 육상교통수단보다 그다지 빠르지도 효율적이지도 못해 여간해서는 우위를 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