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보상부터 해야…정부 시설비·인건비 지원이 관건"[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조강욱 기자] 일부 지방자치단체들이 개성공단 입주 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역 내 산단의 미분양 용지 활용이 가능하고, 장기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하지만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은 선 보상, 후 입주라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어 실제 입주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24일 개성공단 입주 기업 및 지자체에 따르면 현재 개성공단 입주기업 유치 의사를 밝힌 곳은 인천시와 강원도 춘천시, 부산시, 대전시, 충남도 등이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춘천시다. 정부가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체부지로 기존 산업단지의 미분양 용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자 춘천시는 발 빠른 대응에 나섰다. 춘천시는 현재 전체 용지의 39%가 미분양된 동춘천산업단지(면적 53만7000㎡)를 적합한 대상지로 꼽고 있다. 서울~춘천고속도로 남춘천IC, 조양IC와 인접해 차량으로 서울과 1시간 거리에 있고 분양 단가도 3.3㎡당 60만원 수준이다. 개성공단 폐쇄 이후 실제로 여러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문의를 받았다는 게 춘천시의 설명이다. 춘천시 기업과 관계자는 "접경권역에서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활용할 경우 용지 매입비용이나 시설투자비 혜택이 크다"면서 "개성공단 입주기업이나 지역경제 모두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기업들이 개성공단 폐쇄로 모든 걸 빼앗긴 상황이라 정부 차원에서 시설투자 지원이나 한시적이나마 인건비 지원 등 추가적인 지원이 이뤄져야 투자가 가능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춘천지역 산단으로 대체 공단이 성사되면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화천분소(제2하나원) 교육생이나 춘천 시내에 거주하는 탈북자 등을 근로자로 채용할 수 있어 남북 교류협력이라는 개성공단 설립 취지를 이어 갈 수 있다는 점도 내세우고 있다. 이 같은 지자체의 움직임과 달리 개성공단 입주 기업들은 보상이 선행돼야 다음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무엇보다 개성공단 입주기업 123곳 중 99곳(서울시 44개ㆍ경기도 37개ㆍ인천시 18개)이 본사나 공장을 수도권에 두고 있어 지방 이전이 쉽지 않다.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A기업 관계자는 "작은 기업에서 공장을 다시 세우는 것만 해도 막대한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데 본사와 멀리 떨어진 곳은 물류비 등을 감안할 때 도저히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높은 인건비도 부담스러운 요인 중 하나다. 봉제업종에 종사하는 B기업 관계자는 "개성공단에 입주한 124개 기업 중 섬유ㆍ봉제기업만 70여곳이 넘는다"면서 "영세기업이 인건비를 어떻게 감당할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실제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15년도 중소제조업 직종별 임금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18만600원 수준이다. 이는 국내 중소제조업 평균 월급여(203만2000원)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액수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한 관계자는 "대체부지는 차후의 문제"라며 "입주기업별로 실질적인 보상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산업2부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