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한계마을 급속증가…고령비율, 울산 ‘최저’·전남 ‘최고’

전국 시도별 고령인구비율(65세 이상 인구/전체인구*100). 통계청 조사기획과 제공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충남지역 내 고령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난다. 가령 전국 평균 고령인구비율(평균)은 2010년 대비 지난해 1.80%p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2010년 충남지역 내 과소 고령화 지역 분포도. 충남도 제공

충남연구원 연구진은 16일 ‘충남정책지도 제2호’를 발표, 지난 2000년 2568개소(22.9%)였던 도내 과소인구(마을 주민 20명 이하) 소지역 분포가 2010년 3369개소(30.0%)로 증가했다고 밝혔다.이와 함께 65세 이상의 고령화 인구 밀집이 50%이상인 소지역 분포 역시 2000년 456개소(4.1%)에서 2010년 2509개소(22.4%)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이는 5년단위로 구축된 인구센서스 자료(2000~2010)를 바탕으로 분석한 자료로 충남 소지역(동지역 및 계룡시 제외) 총 1만1217개소가 대상에 포함됐다. 2010년 기준 지역별 과소지역은 서천군이 39.9%로 가장 높았고 공주시 36.7%, 서산시 36.1%, 청양군 34.6% 등이 뒤를 이었다.또 같은 해 고령화 50% 이상 소지역은 서천군 41.0%, 청양군 32.8%, 부여군 27.3%, 예산군 25.3% 등의 순으로 집계된다.충남지역에서 파악된 고령화인구의 증가현황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통계청의 ‘e-지방지표’ 등 공시자료에 따르면 전국 평균 고령인구비율은 지난 2010년 10.90%에서 2014년 12.70%로 증가했다.지난해 기준 17개 시·도별 현황에선 전남이 20.14%의 고령인구비율을 기록,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울산이 8.34%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양 도시 간 격차는 11.8%p로 집계, 농촌지역과 대도시(또는 산업도시) 간 격차로 풀이되기도 한다.지난해 충청권에선 충남 16.04%, 충북 14.50%, 세종 12.67%, 대전 10.34% 등의 순으로 고령인구비율이 낮았다. 단 세종은 2012년 출범 당시 15.22%에서 해마다 관련 비율이 낮아지고 있는 반면 이외에 전국 대부분 지역은 연도별로 점차 비율이 늘어나는 특징이 엿보인다.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