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호기자
한 제철소의 고로사진.[자료사진]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파리협정으로 신기후변화체제가 개막하면서 국내 산업계에 희비가 교차되고 있다. 조선,철강,정유 등 굴뚝산업들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막대한 부담이 든다며 어려움을 호소한 반면에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업계는 새로운 호재에 반색하고 있다.14일 산업계는 대체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환경 규제가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전반적으로 경영의 어려움을 우려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2년 기준 이산화탄소 배출 세계 7위(연료 연소), 온실가스 누적 배출량 16위, 1인당 배출량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6위에 해당된다.정부는 신기후체제를 앞두고 우리나라의 자체적으로 결정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2030년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로 결정했다. 기존정부 제3안 25.7%를 채택하되, 우리의 국제사회의 위상과 선도적 역할을 감안해 국제시장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을 11.3%p를 추가하여 37%로 결정했다. 이 계획대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면 국내 500여개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은 1사당 연평균 15억원, 배출량 상위 10대 기업은 연간 4800억원의 감축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됐다. 정부는 37% 감축 목표 가운데 25%만 국내에서 감축하고 나머지 11%는 국제 탄소시장을 활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에너지 다소비 업종인 철강, 석유화학업계는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국가 전체 탄소배출량 6억∼7억t 중 1억t을 차지하는 철강업계는 중국산 저가 제품이 밀려오고 전 세계가 과잉공급 상태라 판매 단가가 낮아지고 있는데 탄소 추가배출권까지 구매해야 하면 원가부담으로 국제 경쟁력은 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조선업계는 앞선 친환경 선박 건조 기술 등으로 장기적으로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은 인정하면서도 당장 규제강화 등이 미칠 영향을 우려했다. 석유화학업계는 에너지효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 온실가스를 더 감축할 여지가 없다"며 "앞으로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