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 달려도 계산·지불 시스템 개발…도공 2020년 상용화
2일 개막한 세계대로대회 전시관에서 도로공사가 선보인 '스마트하이웨이' 모형도. 가운데 설치된 겐트리가 '스마트톨링'을 위한 구조물이다.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이르면 2020년 고속도로 요금소가 사라진다. 그 자리는 차세대 하이패스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톨링' 시스템이 대신한다. 이를 이용하면 운전자들은 요금을 내기 위해 정차하거나 하이패스 구간을 통과하기 위해 속도를 줄이지 않아도 된다. 최대 시속 160㎞ 속도로 지나쳐도 자동으로 요금이 계산ㆍ지불된다. 세계도로대회 첫날인 2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시관의 한국도로공사 홍보부스에는 수십 명이 몰려 도로ㆍ교통 분야의 신기술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특히 관람객들은 정보기술(IT)과 통신, 도로기술이 융ㆍ복합된 '스마트하이웨이'를 구현한 모형에 큰 관심을 보였다. 스마트하이웨이는 국토교통부의 미래형 고속도로 연구 사업으로 선정돼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진행된 연구개발(R&D)의 결과물이다. 스마트하이웨이의 핵심으로 꼽히는 스마트톨링은 기존 하이패스를 개선한 요금 지불 시스템. 기존 하이패스 시스템은 2000년 시범도입을 거쳐 2007년 전면 도입됐다. 하이패스를 장착한 차량은 하이패스 리더기가 설치된 요금소 구간에서 시속 30㎞ 이하 속도로 통과해야 한다. 하지만 앞으로 스마트톨링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상황이 전혀 달라진다. 하이패스 단말기 장착 여부와 상관없이 요금을 내기 위해 속도를 줄이거나 정차할 필요가 없다. 기존 요금소를 개조해 만든 스마트톨링 겐트리(구조물)를 통과하기만 하면 된다. 겐트리를 통과할 때 차선을 바꿔도 괜찮다. 스마트톨링 시스템 미장착 차량의 경우 겐트리에 설치된 2개의 카메라가 전ㆍ후면의 번호판을 인식해 요금을 청구한다. 물론 하이패스 단말기 장착 차량은 기존 통과 방식과 같다. 도공 관계자는 "시속 30㎞ 이하로 속도제한이 있는 기존 하이패스 도로와는 달리 160㎞까지 인식이 가능해 보다 원활한 고속도로 소통이 기대된다"며 "기존 요금소 구조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설치비용도 적다"고 말했다. 스마트톨링 시스템 설치비는 편도 2차선 기준 2억5000만원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정부는 스마트톨링을 2020년까지 구축하고 나머지 스마트하이웨이 기술도 서둘러 현장에 적용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스마트하이웨이에는 도로 주행 중 발생 가능한 돌발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추적해 그 정보를 제공하는 '돌발상황검지시스템(SMART-I)'도 적용된다. 영상과 레이더를 조합해 만든 SMART-I는 역주행과 낙석 등 1㎞ 영역의 비정상적인 도로 내 움직임을 감지해 운전자에게 알리는 시스템이다. 이 정보는 별로의 단말기를 설치한 차량에 제공된다.도공 관계자는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운전자는 도로의 돌발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어 사고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며 "별도의 단말기 구입비용이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블랙박스처럼 안전에 필수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 세계 도로ㆍ교통 신기술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전시관은 세계도로대회 기간인 2일부터 오는 6일까지 운영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프랑스와 독일 등 16개 국가 87개의 국가관과 93개의 기업ㆍ기관의 기업관을 통해 최신기술을 선보인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