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준공업지역, 맞춤형 재생방안으로 재도약

지역특성 고려한 4개 유형 활성화 방안 마련…2016년 본격 시행[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과거 70년대 서울의 경제성장을 견인해온 준공업지역의 기능을 되살리고 첨단 신규 산업을 유치해 제2의 도약을 이끌어내기 위한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이 마련됐다.서울시는 준공업지역을 서울의 미래산업을 선도하고 일자리 창출을 견인하는 '기회의 땅'으로 재도약시키기 위해 물리적·산업적 특성을 고려한 4개 지역별 재생유형으로 구분, 맞춤형 재생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13일 밝혔다.지난 2009년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을 통해 종합적인 관리의 틀을 마련 한 바 있지만 도시관리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정비 방식이 필요해지는 등 시대적 요구가 달라진 만큼 새로운 재생과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준공업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영등포와 구로, 금천구, 성동, 도봉, 강서, 양천 등 7개 자치구에 총 19.98㎢, 서울시 전체 면적의 3.3% 규모다. 이들 지역은 서울시 일자리의 10.3%, 특히 제조업과 첨단산업의 30% 이상이 집적된 경제 핵심지이자 대규모 부지가 많은 편이다.재생 방안의 핵심은 일자리 기능과 주거 기능이 동시에 일어나는 준공업지역의 특성에 맞춰 '개발을 통한 산업재생'과 '낙후된 주거지 재생'이 적절히 이뤄질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것이다.우선 '전략재생형' 방안은 준공업지역 중 지역중심지로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거나 지역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곳을 선정해 산업거점지역으로 육성한다. 이곳은 전략산업 지정, 용적률 상향(400%→480%) 등 특화된 정비 기준을 적용하고 SH공사의 사업 참여 등으로 재생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한다.또 공장 비율이 10% 이상이어서 산업 활성화와 주거환경 개선이 동시에 필요 한 지역은 '산업재생형'으로 분류한다. 이곳은 정비대상을 현재 대규모 부지 (1만㎡ 이상)에서 중소규모 부지(3000㎡ 이상~1만㎡ 미만)까지 확대하고 규모에 따라 차별화된 재생방식을 적용한다.반면 공장비율이 10% 미만으로 주거화된 지역은 '주거재생형' 방식을 적용, 재개발사업과 재건축사업, 주거환경관리사업,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주거지역에 준하는 재생방안을 확대 적용한다. 역세권에 임대주택이나 기숙사를 건축하는 경우 용적률을 400%(현재 250% 이하)까지 완화해준다.준공한지 40년 이상 경과한 G밸리, 온수산업단지는 단지별 특성에 따른 재생 가이드라인을 통해 일자리 거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 재생형'으로 추진한다.이밖에도 ▲'생활권계획'과 연계하고 도시계획조례 등 관련 법제도 정비 ▲기반시설, 주거전환지역 등 산업 외의 용도로 전환된 지역은 준공업지역 지정과 연계한 단계별 해제 추진 ▲주거기능 밀집지역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악취·소음·빛공해의 저감 등도 함께 추진된다.시는 이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이달 중 두 차례의 시민 대토론회와 관련 공무원 토론회 등을 거쳐 오는 12월까지 확정하고, 도시계획조례 등 관련 법·제도를 정비해 내년부터 본격 시행한다는 방침이다.이를 통해 ▲4만6000개 일자리 창출 ▲연면적 기준 약10만㎡ 임대산업시설 확보 ▲청년주택 약 2700호 공급 등의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류훈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준공업지역은 서울 면적의 3.3%에 불과하지만 서울의 미래를 품고 있는 원석 같은 존재"라며 "이번 재생과 활성화 방안을 통해 준공업지역이 지역경제를 살리고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미래 서울의 다이아몬드로 연마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