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펀드, SNS 여론 들여다봤더니

쳥년희망펀드에 대한 SNS 반응

박근혜 대통령이 제안하고 첫 가입한 뒤 연일 이른바 사회지도층의 가입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청년희망펀드'에 대해 트위터, 블로그,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부정적 의견이 8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계획도 없이 진행되는 보여주기식 '관제모금'이며 구조적인 문제인 청년실업의 해결책은 될 수 없다는 게 이 의견들의 요지다.24일 아시아경제가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펄스K를 통해 SNS에서의 '청년희망펀드'에 대한 지난 열흘간(9월15일~9월24일 오후 2시) 언급량을 조사한 결과 총 5138건이 거론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같은 기간 긍정과 부정을 판별할 수 있는 SNS 상의 언급 2712건을 분석해보니 부정적인 내용은 2138건으로 80%를 기록했지만 긍정적인 내용은 395건, 1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립적인 내용은 134건이었다.
부정적인 언급 건수는 초기에는 긍정적인 내용과 크게 차이가 없었지만 청년희망펀드 가입이 시작되고 박 대통령이 1호로 일시금 2000만원과 매달 월급의 20%를 내기로 한 21일부터 격차가 눈에 띄기 시작하다가 특히 지난 23일 부정적인 언급 932건(90.3%), 긍정적인 언급 67건(6.5%)으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부정적인 언급의 주요 내용은 '일자리 창출 책임 국민에게 떠넘겨', '국민에게 돈 뜯는 이상한 정부', '사업 실체도 없어', '관제모금', '강제가입', '창조적 삥뜯기' 등이었다. 국민들의 기부 확산을 통해 청년일자리 사업 지원 등 공익 목적에 사용될 기금을 조성하겠다는 정부의 의도와 달리 네티즌들은 청년희망펀드에 상당한 반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이는 청년희망펀드에 대해 출범 초기부터 실효성, 강제성 논란 등이 제기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우선 모금액은 늘고 있지만 이 기금이 어떻게 쓰일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상태다. 정부는 청년취업 기회 확대를 위해 앞으로 설립될 청년희망재단(가칭)의 사업을 지원하는 데 쓰겠다는 입장만 가지고 있을 뿐 사업 계획은 세우지도 못했다. 여기에 돈을 모아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 자체에 의구심을 표시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KEB하나은행에서 직원들에게 청년희망펀드 가입을 강요했다는 논란이 일면서 반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야권은 "청년희망펀드 기부금 모금 형태가 군사정권의 관제적 성금 모금과 유사한 형태로 변질되고 있어 매우 걱정스럽다"고 밝혔다. 여권 관계자는 "청년희망재단이 아직 설립되지 않은 만큼 향후 청년희망펀드의 사업계획은 국민 여론을 충분히 반영해 세우도록 할 계획"이라며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김철현 기자 kc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디지털뉴스룸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