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금통위 '동결'에 힘 실려…내일 결정 촉각

中 위안화 평가 절하로 소수의견 나올 가능성도 제기

-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가 내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의 기준금리 결정에 변수가 될 것인가. 시장에선 한은이 지난 6월 기준금리를 사상 최저인 연 1.50%까지 낮춘지 얼마 지나지 않은데다 치솟고 있는 가계부채와 연준의 금리인상 변수 탓에 금리 동결에 힘이 싣고 있다. 지난 11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8월 채권시장 지표 동향' 자료에 따르면, 채권시장 종사자 중 98.2%가 8월 금통위에서 현 기준금리(1.50%)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조사에는 채권보유 및 운용관련 84개 기관 113명이 응답했다.금투협은 "중국 등 신흥국 경기침체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수출부진에 따른 국내 경기둔화 우려 등의 금리인하 요인과 가계부채 증가 및 자본유출 규모 증가 문제 등 인상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8월 기준금리는 동결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이르면 다음 달부터 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이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급증하는 점도 금리 동결 전망을 뒷받침하는 요인이다.다만 5분기째 0%대 성장률이 이어지는 등 현재 부진한 경기상황 탓에 금리인하 소수의견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이미선 부국증권 연구원은 "당장 8월 금리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은 낮지만 지표가 예상경로를 벗어날 경우 대비하려 할 것"이라면서 "이주열 총재가 데이터 의존적인 통화정책을 펴겠다고 한만큼 지표를 주시해야 한다"고 했다. 중국이 위안화 평가절하에 나서 수출을 끌어올리려고 하고 있는 점도 복병이다. 김문일 유진투자선물연구원은 "중국이 위안화 평가절하를 하는 것은 금리인하를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주기 때문에 신흥국을 중심으로 환율전쟁이 다시 일어날 여지가 있다"면서 "(중국 위안화 평가 절화를 계기로) 소수의견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