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등급 몰려‥연체·손실 우려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정부가 손짓하고 시중은행들이 화답하는 '중금리 대출'을 놓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손율(대출금을 받지 못하는 비율) 관리가 핵심인데도 관련 대책이 뚜렷이 없다는 지적이 많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시중은행도 10%대 중금리 대출을 취급해 달라"고 요청한 뒤 시중은행들의 중금리 대출 상품 출시가 잇따르고 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각각 '위비모바일대출'과 '스피드업 직장인 대출'을 내놨고 하나은행도 지난 7일 연 6~10%대 이자를 적용하는 '하나 이지세이브론'을 출시했다. 특히 위비모바일대출은 한달여 만에 140억원 대출이 이뤄졌다. 이밖에 KB국민은행, IBK기업은행 등도 중금리 대출 상품 출시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금리 대출은 신용등급 1~7등급까지 대출을 이용할 수 있지만 고객 40% 이상이 6~7등급에 몰려 있다. 문제는 대손율이다. 당장은 대출실적에만 눈길이 가지만 1~2년 내로 대손이 현실화된다. 기존 시중은행들이 관리했던 우량등급(1~5등급) 고객들은 대손율이 0%대에 머문다. 시중은행들은 개인고객 연체라는 상황에 직면해본 경험이 적다는 얘기다. NICE평가정보에 따르면 6~7등급 대손율은 2%대에서 많게는 6%선까지 껑충 뛴다. 100억원을 대출해줬다면 6억원까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서울보증보험과 보증 계약을 맺은 우리은행은 대손 우려가 덜하지만 다른 은행들은 보증 없이 대출을 내주고 있다. 향후 발생할 대손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있는 셈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대손 대응책은 아직 계획한게 없다"며 "상품이 판매되면 향후 연체 상황을 보면서 대응하려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정부가 서울보증을 동원하며 과도하게 중금리 대출 인기몰이에 나서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서울보증은 공공기관인 예금보험공사가 최대주주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지금은 연일 대출 실적만 보도되고 있는데 나중에 연체손실이 현실화되면 고스란히 세금으로 메워야 할 판"이라고 토로했다. 과거 중금리 대출 상품 실패 사례를 염두에 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SC은행은 지난 2005년 중금리 대출상품인 '셀렉트론'을 출시하며 한때 인기를 얻었으나, 이후 부실이 확대되면서 판매를 중단한 바 있다. 백종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중금리 대출 상품의 연체가 타 상품 대비 높아 금리산정시 이를 반영해야 함에도 시중은행은 연체금리가 15%로 제한돼 금리 산정에 어려움이 있다"며 "서민금융 지원을 위해 설립된 2금융권 등 업권별 균형 발전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종 기자 hanaru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이승종 기자 hanar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