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경기전망지수 '84.3' 올들어 최저치…메르스·대외 불확실성 탓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국내 기업들이 7월에도 경기가 암울할 것으로 내다봤다. 대외 불확실성과 수출 부진 지속, 메르스 확산으로 인한 경제심리 위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이다.29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조사 결과, 7월 종합경기 전망치는 84.3으로 기준선 100을 하회했다. 이는 전월 96.4에 비해 12.1포인트나 떨어진 수준으로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8월 세월호 사고 여파(91.6) 때보다도 낮다.BSI가 기준치 100보다 높을 경우에는 향후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기업이 부정적으로 전망하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보다 낮을 경우에는 그 반대를 의미한다.BSI 종합경기 전망치는 올 3월 103.7을 보이며 반짝 반등한 이후 4개월 연속 100을 밑돌고 있다. 부문별로는 내수(84.1), 수출(92.9), 투자(95.6), 자금사정(95.2), 재고(103.6), 고용(95.8), 채산성(89.8)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재고는 100 이상일 때 부정적 답변(재고과잉)을 의미한다. 업종별로는 경공업(74.6), 비제조업(84.2), 중화학공업(87.2) 모두 기준선 100을 크게 하회했다. 구체적으로 의약품제조업(50.0),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61.9), 펄프·종이 및 가구(64.3) 등 전부문에서 부정적으로 전망했다. 실적치 역시 경공업(73.1), 비제조업(76.8), 중화학공업(85.0) 모두 기준치를 하회했으며 펄프·종이 및 가구(57.1), 도·소매(61.5), 출판 및 기록물 제작(64.3) 등 대부분의 업종이 타격을 입었다. 이같은 전망치 하락의 주요 원인은 대외 불확실성과 메르스 확산 등의 영향이 컸다. 먼저 엔저와 그리스 유로존 탈퇴 우려, 연내 미국 금리인상 등으로 국내 수출 여건이 악화됐다. 올 들어 월별 수출 증가율을 보면 1월 -1.0, 2월 -3.3, 3월 -4.5, 4월 -8.0, 5월 -10.9 등으로 수출 부진이 지속·확대되고 있다.여기에 국내 경기마저 메르스 확산으로 소비심리까지 위축돼 유통매출 감소, 입국관광객 감소가 가시화되고 있다.홍성일 전경련 재정금융팀장은 "이번 조사에서는 부정응답 비중이 전월 대비 10% 가량 증가함에 따라 지수가 급격히 낮아졌다"며 "이는 기존 수출 부진 지속과 메르스 여파가 기업심리에도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