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주기자
알리페이로 결제하는 모습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간편결제 전쟁'의 서막이 올랐다.애플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세를 넓히고 있다.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장악한 구글은 '안드로이드페이'를 탑재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알리바바는 '한국판 알리페이'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네이버도 오는 25일 '네이버페이'를 출시, 이들 글로벌 기업과 맞선다.19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2017년 글로벌 모바일 간편결제시장 규모는 약 721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글로벌 업체들은 국경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확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고 통신망이 발달한 한국도 그중 하나다.◆만리장성 넘는 애플페이= 애플페이는 지난해 10월 출시됐다. 구글의 모바일 결제 플랫폼 '구글월렛'보다 한발 늦게 출시됐지만 서비스 확산 속도는 훨씬 빠르다. 미국의 3대 신용카드사와 20만개 이상의 유통업체와 제휴를 맺었다. 지난 8일 열린 개발자 회의(WWDC 2015)에서 영국에 진출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애플페이로 결제가 가능한 애플페이 가맹점은 25만곳에 달한다. 애플은 유럽에 이어 중국시장까지 노리고 있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방문 당시 알리바바, 중국 은행들과 만나 중국시장 진출 의사를 타진했다.중국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알리바바의 간편결제 '알리페이'와 애플의 만남은 엄청난 시너지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인 10명 중 9명이 휴대폰을 가지고 있고, 이미 알리페이나 텐페이 같은 간편결제에 익숙한 이용자들이 많다.◆절치부심 구글 '수수료 무료'= 구글은 '안드로이드페이' 출시 계획을 발표하며 재기를 노리고 있다. 구글은 2011년 '구글 월렛'을 출시했지만 별다른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에 '안드로이드페이'를 선탑재하기로 했다. 또 '결제 수수료 무료화'를 선언하면서 시장 선점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출시 전이지만 안드로이드페이의 확대 가능성은 무한하다. 구글이 전체 스마트폰의 80%를 장악하고 있고, 향후 웨어러블(착용가능한) 기기나 사물인터넷(IoT)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안드로이드페이가 글로벌시장에 출시된다면 구글플레이(스토어) 3위인 한국시장에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