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황교안 후보자 '부적합''…총리 공백 장기화 '우려'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10일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가 부적합하다는 결론을 냈다. 여야의 대립으로 황 후보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과 인준이 지연, 국무총리 공백의 장기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특위 야당 간사인 우원식 새정치연합 의원은 이날 오후 질의를 시작하기 전 기자간담회를 열어 "국가적 과제를 해결해 나갈 국무총리로 부적합하다는 게 저희들의 결론"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기한 내에 채택해야 하는게 의무사항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우 의원은 인사청문회에 자료제출 의무를 강화하는 내용의 법 개정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저러한 이유로 자료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인사청문회가 무력화 될 수 있겠단 생각이 들어 제도적 보완을 위해 '황교안법2' 같은걸 국회가 만들어야 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같은 당 홍종학 의원은 황 후보자가 2012년 수임한 정휘동 청호나이스 회장의 횡령사건을 예로 들며 "공직자윤리법의 이해충돌 방지의무를 위반했고 변호사법도 위반했다"고 지적했다. 또 자문사건 19건 중 사면이 포함된데 대해 "국민의 관점에서 합리적 의심을 제기했지만 황 후보자의 소명은 의혹을 해소하지 못했다"고 말했다.김광진 새정치연합 의원 역시 "2013년 법무부 장관 인사청문회 당시에도 전관예우 검증하고자 했으나 후보자가 법을 핑계로 자료 제출 안 해 검증할 수 없었다"며 "국민이 원하는 국무총리는 그런 변호사 아니다"고 꼬집었다. 이어 "국무총리 후보자라면 국방·납세에 관한 기본적 의무를 이행 했는지가 논란의 대상이 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박원석 정의당 의원은 "경제 총리가 지명됐음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공안 출신 총리가 지명돼 여러가지 우려들이 나왔다"며 "(인사청문회에서) 그와 같은 우려를 전혀 해소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상습적인 세금 체납을 감안한다면 국무총리로 적정한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