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er>[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 하반기 국정을 이끌어갈 국무총리로 공안검사 출신인 황교안 현 법무부 장관을 택한 것은 정치ㆍ경제ㆍ사회 전 분야에 걸친 부패척결 작업에 국정의 총력을 집중하겠다는 기존 의지를 확실히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이완구 전 총리가 부패와의 전쟁을 선언하며 사정정국을 주도하려다 본인이 부패 혐의를 받으며 낙마했지만, 박 대통령이 견지하고 있는 적폐해소 의지에는 전혀 흔들림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 전 총리가 포함된 성완종 리스트 파문의 수사를 책임져온 법무부 장관을 총리로 낙점함으로써, 앞으로 이 일에 연루된 부패 정치인들을 솎아내는 작업에도 큰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 전 총리가 부패척결이라는 프레임에 갇혀서 국민통합이라는 총리의 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황 후보자의 총리역할도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우려된다.김성우 홍보수석이 21일 황 후보자 내정 사실을 발표하며 "부정부패를 뿌리 뽑아 정치개혁을 이룰 수 있는 적임자"라는 점을 수차례 강조한 것이 이를 방증한다. 58세인 황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한다면 정치권과 공직사회의 세대교체를 알리는 신호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황 후보자는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과 통합진보당 해산 등 굵직한 이슈를 주도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개혁과제를 제대로 처리할 적임자라는 인상을 박 대통령에게 강하게 남긴 것으로 전해진다. 이런 흐름에서 그를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사정정국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역으로는 '공안총리'라는 비판이 야당과 시민단체 등을 통해 제기될 것으로 보여 총리 적격성을 두고 일대 공방이 불가피해 보인다.황 후보자는 박근혜정부 출범과 함께 법무부 장관에 취임해 2년 1개월 간 재임해왔다. 서울 출신으로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에서 법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1981년 23회 사법시험을 통해 공직에 진출해 28년간 검찰에 몸담았다. 대검 공안 1ㆍ3과장, 서울중앙지검 2차장, 창원지검장, 부산지검장 등을 역임했다. 2013년 법무부 장관 취임전까지는 법무법인 태평양 형사부문 고문 변호사로 일했다. 법무부 장관 청문회 때 병역면제를 받은 것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업무에 있어 차분하고 합리적이라는 평가가 주를 이루며 국가보안법과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해설서를 집필할 정도로 공안분야 이론에 정통해 '미스터 국보법'이라는 별명도 있다. 박 대통령의 황 후보자 내정은 현 정부 들어 6번째 총리 후보자 인선이다. 이번 인선은 지난달 27일 이 전 총리의 사표를 재가한 지 25일만에 이루어졌다. 박 대통령이 깜짝인물보다는 현 내각에서 검증된 인물을 발탁할 것이란 관측은 지배적이었다. 또 한 번 총리 인선에 실패할 경우 급속한 레임덕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지만, 이러한 전후사정에 얽매어 '뻔한 인사'를 했다는 비판도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형 총리를 발탁해 국정을 쇄신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쪽에서는 일종의 '회전문 인사'로 여길 수 있기 때문이다. 야당까지 품을 통 큰 정치를 보여주지 못했다는 것이다.한편 이날 청와대는 후보자 발표를 이날 오전 10시에 하기로 했다가 2분 전 돌연 발표를 연기하겠다고 공지했다. 민 대변인은 10시 5분쯤 다시 "문안 작성에 문제가 있었다"고 해명하며 10시 15분 발표를 공지했다. 일각에선 황 후보자 인선에 대한 여당내 반발로 발표 시점을 두고 혼선이 생긴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