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사면수사' 메시지…고민 깊어진 檢

무리한 수사범위 확대엔 일단 경계모드…이완구·홍준표 비서 조사부터 진행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박준용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28일 대국민 메시지가 검찰에 강한 압박을 주고 있다. 박 대통령은 "성완종 전 회장의 연이은 사면은 국민도 납득 어렵다"면서 "이 문제는 제대로 밝혀야 한다"고 언급했다. 대통령이 검찰을 향해 참여정부 당시 단행된 사면에 대한 수사에 나서라는 정치적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검찰은 수사 초기단계부터 빈 칸을 하나 채워야 다음 칸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말로 '수사논리' 중요성을 강조했다. 정치논리에 휘둘려 수사의 폭과 대상을 무작정 확대하는 것은 경계하겠다는 의미다. 그러나 대통령의 메시지가 나온 이후 여권의 사면 수사 압박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검찰의 고민도 깊어질 수밖에 없다. 검찰은 정치논리에 따라 수사를 진행할 경우 여론의 뭇매를 자초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고심하고 있다. '정치검찰' 논란에 휩쓸리지 않으려는 검찰 내부 기류도 엿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수사팀의 관심은 오로지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필요한 자료를 수집, 당시 상황을 최대한 복원하고 재현함은 물론 당사자들의 진술 진위를 가리고 리스트의 실체를 규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수사팀은 예정된 수사계획표대로 수사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29일부터 '성완종 리스트' 관련자에 대한 첫 소환 조사에 들어간다. 첫 타깃은 이완구 전 국무총리와 홍준표 경남도지사다. 검찰은 이 전 총리와 홍 지사의 수행비서를 각각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검찰은 이들을 소환해 이 전 총리와 홍 지사가 성 전 회장으로부터 금품을 받은 것이 사실인지, 받았다면 언제 어떻게 받았는지를 조사할 방침이다. 아울러 검찰은 성 전 회장 측근 소환조사도 계속하고 있다. 지난 27일부터 이틀 간 27시간 동안 경남기업 인사총무팀 부장 정낙민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또 구속된 박준호 전 상무와 이용기 홍보부장도 매일 소환해 성 전 회장 관련 의혹을 캐묻고 있다.
검찰은 차근차근 수사단계를 밟아가고 있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는 부담을 안고 있다. 부장검사 출신인 김경진 변호사는 "(대통령 등이) 사면수사를 언급하는 것은 가이드라인으로 해석될 수 있어 검찰 입장에서 불편할 수밖에 없다"며 "성완종 리스트 수사를 하다가 말고 사면으로 수사의 방향을 틀기는 쉽지 않다"고 전망했다. 이러는 사이 여론은 검찰에 초미의 관심을 기울이며 바라보고 있다. 경실련, 참여연대, 한국YMCA 등 시민단체들은 28일 오전 청와대 인근 청운동 주민센터 앞에서 '성완종 리스트'를 둘러싼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특히 황 장관 '사퇴'를 요구하며 수사의 방향을 틀고자 하는 권력의 의도를 경계했다.황 장관은 국회 답변 등을 통해 정치권 전반을 향한 수사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는 친박근혜계 권력실세에 집중된 '성완종 의혹'의 폭과 대상을 야당 쪽으로 넓히려는 여당의 전략과 흐름을 함께하고 있다. 공정한 법집행을 이끌어야 할 법무부 장관이 검찰을 정치 소용돌이의 한복판으로 인도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 이유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박준용 기자 juneyo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류정민 차장 jmryu@asiae.co.kr사회부 박준용 기자 juneyo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