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길의 스피드건]KBL, 경기력으로 승부걸었다

프로농구를 즐기는 관중[사진=KBL 제공]

한국농구연맹(KBL)이 프로농구 개막을 9월 중순으로 한 달여 앞당긴다. 정규리그 일정도 종전보다 늘린다. 지난 26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끝난 단장 워크숍에서 잠정 합의한 사안으로 오는 29일 사무국장 회의를 거쳐 이사회에 상정한다. 이른 개막은 프로야구 포스트시즌과 일정이 겹쳐 흥행에 영향이 미칠 수 있다. 일정은 2016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출전권이 걸린 국제농구연맹(FIBA) 아시아선수권대회(9월23일~10월3일)와도 맞물린다. 간판스타들의 이탈로 시작부터 김이 샐지 모른다. 일부 구단은 체육관 대관 문제 등으로 난색을 표한다. 특히 수도권에 연고를 둔 구단들이 지자체와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그럼에도 KBL이 변화를 강행하는 이유는 경기력 향상을 위해서다. 이성훈(55) KBL 경기이사는 "그동안 빡빡한 일정 때문에 리그 후반으로 갈수록 경기의 질이 떨어지고 부상 선수가 속출했다. 주당 열 경기를 하면 선수들의 체력 부담을 줄여 경기에 대한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고 했다. KBL은 월요일 경기를 폐지하고 화ㆍ수ㆍ목ㆍ금요일에 한 경기씩 배치할 계획이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두세 경기를 할 예정이다. KBL은 TV 중계권, 아시아선수권대회, 체육관 대관 등 다양한 걸림돌이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하지만 해결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인기가 높은 프로야구에 대한 피해의식을 걷어낸 점이 인상적이다. 이 이사는 "일정을 어떻게 짜도 피하기 어렵다면 챔피언결정전을 성대하게 치르는 편이 낫다"고 했다. 아시아선수권대회에 대해서는 "FIBA가 2017년부터 대륙선수권대회를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하려고 한다. 축구의 'A매치 데이'처럼 일정을 조절하면 된다"고 했다. 체육관 대관 문제는 각 구단의 의견을 수렴하되 다수가 반대하지 않는 한 바뀐 일정을 적용한다. 이 이사는 "프로농구 흥행이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각 구단 단장들이 동의한 내용"이라며 "미래를 위한 변화는 불가피하다"고 했다.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스포츠레저부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