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연 30년 신용정보집중 역사 뺏기나…통합추진 '뒤숭숭'

<b/>이달 신용정보집중기관 통합추진위원회 사무국 운영 본격화 긴장감 커져30여년간 역할 충실히 수행했던 종합신용정보집중 기능 신설 기관에 뺏길수도법상에 구체적인 통합방식 내용 없지만 신설 기관에 허가 내줄 경우 타격 커신설 기관 출범에 따른 조직규모 축소 위기에 직원들 술렁술렁신설 기관 종합신용정보 전문인력 충분한 확보 어려울 수도

[통합 신용정보집중기관 추진]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수십년간 해온 신용정보업무가 아닌 다른 일을 맡게 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스럽습니다. 하지만 신설 기관으로 이직하는 것도 내키지 않습니다."27일 금융권에 따르면 내년 3월 출범 예정인 통합 신용정보집중기관을 놓고 은행연합회(이하 은행연)의 분위기가 뒤숭숭하다. 특히 이달 초부터 신용정보집중기관 통합추진위원회 사무국이 본격적으로 운용되면서 긴장감이 더 커졌다. 은행연 관계자는 "지난 30여년간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했던 종합신용정보집중 기능을 신설 기관에 넘겨주게 될 수도 있다는 게 당황스럽다"며 "그동안 선후배들과 신용정보업무를 해오면서 자부심도 컸는데 앞으로 벌어질 일이 불안하기도 하다"고 토로했다. 올해 3월 공포된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련 법률 일부 개정안(이하 신용정보법)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 법이 시행되는 9월12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일정 요건을 갖춘 통합 신용정보집중기관을 허가해야 한다. 신용정보집중기관 통합추진위원회에서 내년 출범 때까지 통합방식 등 필요한 사항을 논의하고 결정할 방침이다. 법상에는 은행연으로 합치거나 신설한다는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 금융당국이 신설에 무게를 둘 경우 은행연의 신용정보집중 기능은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신설에 따른 전문 인력 채용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인력요건을 갖추지 못해 통합 신용정보집중기관 출범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 30여년간 종합신용정보집중 업무를 해온 은행연 직원들의 도움 없이는 신설 기관의 출범 및 정상적인 업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은행연에서 종합신용정보집중기관 기능을 뺏기게 되면 해당 조직에 대한 변화가 불가피하다. 은행연 전체 직원 170여명 가운데 신용정보업무를 담당하는 인력은 90명에 달한다. 신용정보업무 예산은 전체 예산의 절반 가량인 150억원 수준이다. 조직규모가 축소되는 것은 물론 기존처럼 신용정보업무 예산에 대한 금융권의 분담금을 받는 것도 어려워진다. 그렇다고 신용정보업무 인력 90명을 다른 보직으로 모두 바꾸기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통합 신용정보집중기관이 신설되면 전문인력들을 채용해야 하는데 전문지식과 축적된 노하우를 가진 은행연 직원들이 절실히 필요할 것"이라며 "은행연 직원들도 조직 규모가 크게 축소되는 상황에서 이직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서로 다른 기관에서 일하던 인력들이 신설 신용정보집중기관에 모여 새로 조직을 꾸려야 하는데 합류하는 직원들 입장에서는 분위기나 급여ㆍ복지 혜택 등이 어떨지 불안한 마음도 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합 신용정보집중기관 설립은 지난해 1억400만건 개인고객정보가 유출된 카드 3사 정보유출 사고 이후 본격적으로 논의됐다. 은행연과 여신, 생보, 손보 등 각 금융협회로 흩어져있던 신용정보집중기관을 한곳에 모아 통합하는 방식이다. 금융위가 통합 신용정보집중기관 설립을 추진하면서 이견이 많았다. 종합신용정보집중기관의 역할을 맡아 온 은행연이 1982년부터 관리업무를 해오면서 단 한 건의 개인정보 유출사고도 없었는데 굳이 새로운 기관을 설립할 필요가 있는지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서로 다른 기관 인력들이 신설 기관에 합쳐질 경우 상당기간 조직이 불안정할 수도 있고 오히려 개인신용정보 관리에 허점이 드러날 수 있다"며 "기존 보다 조직규모가 늘어날 경우 수익성 악화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금융사들이 통합 신용정보집중기관에 내는 분담금 부담도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