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경기둔화, 금융위기 이후 가장 빨라

라가르드 IMF 총재 '글로벌 저성장, 새로운 현실로 고착될 가능성'

[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금융위기 이후 신흥국들의 경기둔화 속도가 가장 빠른 수준에 이르렀다.영국 경제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슈퍼달러,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한 타격이 선진국보다 신흥국에 더 크게 미칠 것이라고 9일(현지시간) 경고했다.주요 경제분석 기관들은 잇따라 신흥국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 잡고 있다. 영국의 시장조사업체 캐피털이코노믹스는 이머징 46개국의 올해 1·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4.0%를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4분기의 경우 4.5%였다. 분기 성장률 기준으로 2009년 4분기 이후 최저치다.세계 민간은행·투자기관들 모임인 국제금융협회(IIF)는 신흥국의 올해 1분기 성장률이 3.4%에 그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1분기 4.6%보다 낮아지는 것이다.신흥국의 본격적인 경기둔화는 세계 경제의 성장엔진이 식어가고 있음을 뜻한다. 2008~2009년 신흥국 성장둔화가 글로벌 금융위기라는 외부 충격 때문이었다면 최근의 성장률 저하는 이머징 국가들의 내부 요인 탓이 크다. 경제체질을 수출에서 내수·소비 중심으로 개선하고 있는 중국의 경기둔화가 좋은 예다.브라질과 러시아는 유가 하락 등 원자재 시장 부진으로 큰 타격을 입고 있다. 한국·중국·태국·말레이시아에서는 강달러 기조에 따라 자본유출이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영국 소재 시장조사업체 나우캐스팅 이코노믹스는 브라질의 올해 1분기 성장률을 -1.24%로 예상했다. 위축 속도가 지난해 4분기 -0.3%보다 빨라진다는 뜻이다. 같은 기간 중국의 성장률은 7.3%에서 6.8%로 둔화할 전망이다. 신흥국 가운데 그나마 선방하고 있는 멕시코도 2.6%에서 2%로 낮아질 듯하다.한편 이날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미 싱크탱크 애틀랜틱카운슬에서 "브라질·러시아 등 신흥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잡을 계획"이라면서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신흥국 경제가 받을 충격이 매우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IMF는 다음주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한다.라가르드 총재는 "세계 경제의 성장부진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이니 각국 정부는 공격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면서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올릴 경우 유동성이 급감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은 요동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그는 이어 "저성장이 새로운 현실로 고착되지 않도록 막으려면 인프라 투자 확대 같은 개혁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목인 기자 cmi072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