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가경영전략연구원의 수요정책포럼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금이 올라가야 내수가 살아난다고 밝히면서 재계를 향해 임금인상을 노력을 주문했지만 이에 대한 재계의 반응은 "올리고 싶지만 여건이 쉽지 않다"는 반응이다. 최 부총리는 4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가경영전략연구원의 수요정책포럼 강연에서 내수 부양을 위한 임금 인상을 강조했다. 그는 "적정 수준의 임금 인상이 일어나지 않고는 내수가 살아날 수 없다"며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도 비슷한 주장을 하고 있고, 일본의 아베 총리는 아예 노골적으로 기업들에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어 "현 정부 들어서 최저임금 인상률을 연간 7%대로 올렸다"며 "올해도 최저임금을 빠른 속도로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최 부총리의 바람과 달리 경영계의 분위기는 서늘하다. 박병원 경총 회장은 이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예방한 자리에서 김 대표가 노동개혁에 앞장서 달라고 주문한 데 대해 "결국 근로자들이 원하는 건 임금이 많이 오르고 근로조건이 개선되는 것"이라며 "일자리가 많이 생겨 일손이 부족해지면 임금은 저절로 오르고 근로조건도 저절로 개선된다"는 견해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한국경영자총협회가 작년말 대기업 70곳을 대상으로 올해 경영기조를 조사한 결과, 긴축경영 기조를 택한 곳이 전년 39.6%에서 올해 51.4%로 크게 늘어났다. 현상유지는 42.6%에서 34.2%로, 확대경영은 19.4%에서 14.3%로 각각 감소했다. 긴축경영 기조하에서 시행계획으로 인력부문 경영 합리화를 선택한 기업들은 세부 방안으로 명예퇴직(27.3%), 인원감축(15.2%), 직무전환(12.1%), 계열사전환배치(6.1%) 임금조정(3.0%) 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병원 신임 경총 회장이 4일 새누리당을 방문 김무성 대표를 예방하며 악수를 하고 있다.
경총은 이번주 중 임금인상 가이드라인을 정할 예정이다. 현재 민주노총은 올해 가맹 조직의 임금 인상 요구안을 23만원, 한국노총은 24만5870원(7.8%)을 각각 제시한 상태다. 지난해에는 경총이 2.3%, 한국노총은 8.1%의 임금 인상폭을 제시한 바 있다.기업 현장에서는 임금인상은커녕 임금동결 분위기가 확산되는 추세다. 특히 삼성전자의 물가연동없는 임금동결은 삼성그룹 전 계열사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여기에 지난해 실적이 악화됐거나 긴축경영에 들어간 기업 뿐만 아니라 실적이 나쁘지 않은 기업에서도 임금동결 내지는 임금인상폭이 최소한의 수준에서 이뤄질 수 있다는 우려섞인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지난해 37년 만에 적자가 나자 노사합의로 임금을 동결하기로 했다.직원들 사이에서는 오히려 "삭감이 안된게 다행"이라는 말이 돈다. 노사협의가 진행중인 한 업체 관계자는 "금융위기때 동결한 이후 기본적으로 3~5%씩은 올랐기 때문에 동결할 것 같지는 않다"면서도 "분위기가 좋지 않은 것만은 분명하다"고 전했다.실적부진을 겪고있는 철강업계도 최소한의 폭에서 인상률이 정해질 전망이다. 포스코의 경우 보통 하반기에 임금협상을 진행하는데 지난해 8월에는 기본급을 2.5%인상하는 선에서 임협을 마무리했다.정부의 기대에 부응하는 곳도 있다. LG전자는 삼성전자와 달리 노사합의로 올해 임금을 평균 4% 인상키로 했다. 유통업계 분위기도 나쁘지 않다. 금호타이어는 지난 1월 노사가 임금 15% 인상과 상여금 200% 환원, 격려금 510만 원 지급에 합의한 바 있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